하늘만큼 땅만큼 행복하게~~
꽃대장 하늘땅의 꽃나무 이야기

꽃나무 이야기방/논어와 나무 이야기

논어 명언(名言) 모음 - 의(義)에 관한 말씀들

꽃대장 하늘땅 2022. 3. 3. 18:13
반응형


오늘은 논어 속 명언(名言) 모음 - 두 번째 순서로 의(義)에 관한 좋은 말씀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백합(튤립)나무 푸른 잎

 


[의義 : 정의로움과 용기에 관한 말씀]

 


논어 제2편 위정(爲政)의 스물네 번째 문장

子曰 “見義不爲는 無勇也니라”(견의불위 무용야): “옳은 일을 보고도 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니라.”


- 이 글은 옳다는 생각에 그치지 않고, 용기내어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로움(義)이라고 해석 할 수가 있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335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20 - 제2편 위정(爲政) 24 - 자작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2편 위정(爲政)의 스물네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見義不爲는 無勇也니라”(견의불위 무용야): “옳은 일을 보고도 하지 않는 것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4편 이인(里仁)의 열 번째 문장

子曰 “君子는 之於天下也에 無適也하고 無莫也하며 義之與比니라”(군자 지어천하야 무적야 무막야 의지여비): “군자는 천하에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것도 없고, 절대로 안된다는 것도 없으며, 오로지 의로움(義)을 따를 뿐이니라.”


- 이 글은 '군자는 오직 한 가지만을 옳다고 고집하지도 않고 모든 것을 반대하지도 않으며, 오로지 정의(正義)에 따라 결정하고 처리해야 한다'는 말씀이라 하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344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28 - 제4편 이인(里仁) 10 - 메타세콰이아, 낙우송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4편 이인(里仁)의 열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君子는 之於天下也에 無適也하고 無莫也하며 義之與比니라”(군자 지어천하야 무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4편 이인(里仁)의 스물네 번째 문장

子曰 “君子는 欲訥於言而敏於行이니라”(군자 욕눌어언이민어행): “군자는 말은 어눌하지만 행동은 민첩하게 하느니라.”


- 이 글은 '군자는 말은 더디게 하려하고, 행동은 민첩하게 하려 한다'는 말씀이라고도 할 수 있음에, 언행일치(言行一致)를 위해서는 말보다 행동을 먼저 해야 한다는 눌언민행(訥言敏行)의 교훈도 하나 더 기억해 두시면 좋을듯 합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354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35 - 제4편 이인(里仁) 24 - 튤립나무(백합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4편 이인(里仁)의 스물네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君子는 欲訥於言而敏於行이니라”(군자 욕눌어언이민어행): “군자는 말은 어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6편 옹야(雍也)의 열일곱 번째 문장

子曰 “人之生也 直이니 罔之生也는 幸而免이니라”(인지생야 직 망지생야 행이면): “인간의 삶은 정직해야 하는 것이니, 정직하지 않게 살아가는 것은 요행히 화나 면하고 있는 것이니라.”


- 이 글은 삶을 정직하게 살지 않으면 언젠가는 반듯이 그에 따른 값을 치를 수밖에 없다는, 살짝 겁나는 말씀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꽃대장도 길지 않은 인생을 살아 봤지만, 정직하게 사는 것이야말로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꼭 필요한 기본이며 보편적 덕목이라고 생각됩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66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45 - 제6편 옹야(雍也) 17 - 전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6편 옹야(雍也)의 열일곱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人之生也 直이니 罔之生也는 幸而免이니라”(인지생야 직 망지생야 행이면):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14편 헌문(憲問)의 다섯 번째 문장

子曰 “有德者는 必有言이나 有言者라도 不必有德이니라.”(유덕자 필유언 유언자 불필유덕) “仁者는 必有勇이나 勇者라도 不必有仁이니라.”(인자 필유용 용자 불필유인): “덕자(德者)는 반드시 바른말을 하지만 바른말을 한다고 다 덕자는 아니다.” “인자(仁者)는 반드시 용기가 있지만 용기가 있다고 다 인자는 아니다.”


- 이 글은 바른말처럼 들릴 수 있는 입발림 소리를 잘하는 사람이나 용기 있는 척 여기저기 나대는 사람들은 잘 가려서 멀리하고, 진정한 덕자(德者)와 인자(仁者)를 가까이 함으로써 바른말과 바른 용기를 배워야 한다는 말씀이라 하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409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80 - 제14편 헌문(憲問) 05 - 잎갈나무(낙엽송), 일본잎갈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4편 헌문(憲問)의 다섯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有德者는 必有言이나 有言者라도 不必有德이니라.”(유덕자 필유언 유언자 불필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14편 헌문(憲問)의 열세 번째 문장

子曰 “見利思義하고 見危授命하라.”(견리사의 견위수명): “이익 될 일을 보거든 의로운 가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거든 목숨을 내놓아라.”


- 이 글은 제자 자로의 성인(成人)에 대한 물음에 공자님이 주신 답으로, 제2편의 見義不爲 無勇也(견의불위 무용야) “옳은 일을 보고도 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니라.”라는 말씀과 함께 기억해 두시면 좋을 듯 합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413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83 - 제14편 헌문(憲問) 13 - 무궁화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4편 헌문(憲問)의 열세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見利思義하고 見危授命하라.”(견리사의 견위수명): “이익 될 일을 보거든 의로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15편 위령공(衛靈公)의 여덟 번째 문장

子曰 “志士仁人은 無求生以害仁이며 有殺身以成仁이니라.”(지사인인 무구생이해인 유살신이성인): “뜻을 지닌 사람과 인(仁)한 사람은 삶을 위해 인(仁)을 해치지 아니하며, 자신의 목숨을 바쳐서라도 인(仁)을 이루느니라.”


- 이 글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살신성인(殺身成仁) 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 되었는데요. 꽃대장과 같은 평범한 사람들은 인의(仁義)를 위해 자신의 목숨까지도 바칠 수 있는 용기 있는 인자(仁子)로 살아가기는 어렵겠구나 싶었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419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87 - 제15편 위령공(衛靈公) 08 - 사과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5편 위령공(衛靈公)의 여덟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志士仁人은 無求生以害仁이며 有殺身以成仁이니라.”(지사인인 무구생이해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15편 위령공(衛靈公)의 스물일곱 번째 문장

子曰 “衆惡之라도 必察焉하며 衆好之라도 必察焉이니라.”(중오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 “여러 사람이 미워하여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며, 여러 사람이 좋아하여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느니라.”


- 이 글은 많은 사람들이 미워한다 좋아한다 하더라도 필히 다시 살피어 틀림이 없도록 평가해야 한다는 말씀인데요. 옳은 것은 그렇다고, 그른 것은 아니라고 말 할 수 있는 용기도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425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91 - 제15편 위령공(衛靈公) 27 - 비자나무, 개비자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5편 위령공(衛靈公)의 스물일곱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衆惡之라도 必察焉하며 衆好之라도 必察焉이니라.”(중오지 필찰언 중

mjmhpark.tistory.com

 

 

단풍 든 백합(튤립)나무 잎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