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만큼 땅만큼 행복하게~~
꽃대장 하늘땅의 꽃나무 이야기
반응형

꽃나무 공부방 141

연리목 연리지 정의와 차이

연리(連理)는 가깝게 자라던 두 나무, 정확히는 각각의 뿌리를 가지고 있는 두 그루의 나무가 서로 합쳐져서 한 나무처럼 자라고 있는 현상을 말하는 것인데요.나무의 몸통인 줄기가 서로 합쳐져 있으면 연리목(連理木)이라고 하며, 나무의 가지가 서로 붙어서 이어져 있으면 연리지(連理枝)라고 합니다.그런데 연리(連理) 중에서도, 가까이 붙어서 부피 생장을 하며 덩치를 키우던 두 나무의 몸통이 서로 붙는 연리목은 가끔씩 만날 수가 있지만요.가지가 서로 붙는 연리지는 연리목 보다 만나기가 쉽제 않은데요. 가지는 서로 맞닿아 서로 붙어 있다가도 태풍처럼 큰 바람에 다시 떨어져 버리거나, 결국 세력이 약한 나무의 가지가 죽어 버리기 때문이라 하겠습니다.연리목과 연리지는 영어로 융합쌍생아(샴쌍둥이) Conjoined t..

앵초 설앵초 큰앵초 줄리안앵초 오브코니카앵초 블레이아나앵초 카피타타앵초 비알리앵초

앵초과 집안의 앵초(Primula)속 가족들을 모아 봤는데요. 참고로 앵초의 속명 Primula는 라틴어로 '처음' 또는 '선두'라는 뜻을 가진 primus에서 유래 하였다고 함에, 앵초는 봄에 처음으로 만나는 꽃이란 의미이며, 2월과 5월의 첫날인 2월1일과 5월1일의 탄생화이기도 하답니다. 우선 우리 한반도에 자생하고 있는 앵초들부터 소개해 드리면요. 1. 영어이름 East Asian primrose에서 알 수 있듯이 한반도와 동아시아에 자생하고 있는 앵초(Primula sieboldii)는요. 요즘 복수초처럼 수목원이 아닌 공원의 화단꽃으로도 종종 만날 수가 있답니다. 앵초(Primula sieboldii)는 한반도를 비롯한 시베리아, 중국 동부, 일본 원산의 앵초과에 속하는 키 20~30cm 정도..

불교 부처님 스님 관련 이름을 가진 꽃 나무들

5월 '부처님 오신 날'을 앞두고서, 불교 또는 부처님이나 스님(중)과 관련된 이름을 가진 꽃과 나무들을 한 자리에 모아 봤습니다.^^ 연꽃과 연꽃(Nelumbo nucifera) - East indian lotus불교를 상징하는 꽃 연꽃은 인도의 국화(나라꽃)이기도 합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137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인도오늘의 아침꽃인사는 [남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네 번째 순서로, 남아시아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구 13억8천만명으로 세계1위 중국(14억2백만명)을 mjmhpark.tistory.com 뽕나무과 인도보리수(Ficus religiosa) - Indian barley tree불교를 ..

별꽃이라 불리는 원예종 꽃들 : 펜타스 오니소갈룸 향기별꽃 페어리스타 호야 이소토마 선애기별꽃 별수국 금관화

우리 자생 야생화인 석죽과 집안의 별꽃(Stellaria media)이나 개별꽃(Pseudostellaria heterophylla)처럼 꽃잎이 5장이거나 5개로 갈라져 있어서 별처럼 반짝반짝.^^ '별'이나 '별꽃'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원예종 꽃들을 한 자리에 모아 봤습니다. 첫 번째는 이집트 별꽃(Egyptian Star Flower)이라 불리기도 하는 꼭두서니과 집안의 펜타스(Pentas)인데요.이름도 5를 뜻하는 penta에서 유래하였으며, 꽃대장도 이 꽃을 처음 봤을 때, '와~ 별꽃뭉치, 별꽃다발 같다'라고 느꼈던 꽃이었고요.아마 님들도 펜타스를 만나신다면 별꽃이란 이름이 머리에 팍! 떠오르실 듯 합니다.^^'펜타스'의 꽃말은 밤하늘에 떠 있는 아름다운 별들을 다발로 선물 받았을 때의 기분이랄..

국립공원 깃대종 소개 및 국립공원별 깃대종(식물) 학명 영어이름 사진

깃대종이란? '특정지역의 생태적, 지리적,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야생 동식물로, 사람들이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인정되는 종'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깃대종은 영어로 Flagship species라 하며, 1993년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의 ‘생물다양성 국가 연구에 관한 가이드라인’에서 그 개념이 처음으로 제시되었다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도 22개 국립공원이 2007년부터 식물 22종을 포함한 총 41종의 생물종을 깃대종으로 선정하여 보호하고 있답니다. 다음은 꽃대장이 담아 놓아던 사진들을 뒤져서, 우리나라 국립공원 깃대종(식물) 사진들을 학명 영어이름과 함께 정리해 본 것으로, 몇몇 종은 아직도 만난 적이 없거나 담아 놓은 사진이 없어서 조금은 아쉽지만요. 앞으로 국립공원을 방문 하실 때..

먹거리 곡식 이름이 들어간 나무들

옛날옛날 어렵게 넘던 보릿고개와 같은, 배고팠던 시절이 길~었던 탓일까? 우리나라에는 생각보다 많은 나무들이 먹거리 곡식의 이름표를 달고 있는데요. 애잔하기도 하지만 정감가고 든든한 나무들이기에 한자리에 모아 봤습니다.^^ 밥만큼 맛나고 먹으면 든든하다는 밥나무 --> 밤나무 이밥(쌀밥) 같은 하얀 꽃이 피는 이밥나무 --> 이팝나무 노란색 조가 섞인 조밥 같은 조밥나무 --> 조팝나무 수수이삭 같은 꽃이 피는 나무 --> 수수꽃다리 잎으로 떡을 싸는 떡쌀나무 --> 떡갈나무 열매 안의 씨가 보리를 닮은 보리나무 --> 보리수나무 잎 뒷면이 밥처럼 하얀 보리밥 --> 보리밥나무 밥풀떼기가 다닥다닥~ 밥튀기나무 --> 박태기나무 가는 줄기가 국수가닥 같은 국수가닥나무 --> 국수나무 팥 같은 빛깔의 꽃이 ..

봄꽃 피는 순서 - 절기(節氣) 기준 꽃나무 개화 순서

매년 봄, 공원이나 아파트단지의 꽃나무들이 우르르~ 앞다투어 한꺼번에 꽃을 피우는 듯 보이지만요. 식물들은 낮의 길이를 피토크롬(Phytochrome)이라는 빛 감지 색소로 감지하면서, 나무들 마다 가장 좋아하는 시기에 꽃을 피우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때문에 우리가 달력이나 뉴스를 통해 자주 듣게되는 24절기(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1년을 24등분하여 계절을 나눈 것)를 기준으로 하면, 꽃나무들의 꽃 피는 시기와 순서를 예측 할 수가 있겠고요.^^ 따라서 꽃대장이 서울 기준, 매월 두 번씩 찾아 오는 절기(節氣)를 기준으로 [봄 꽃나무들의 꽃 피는 순서]를 정리해 보습니다. (당연히 주위 환경과 기상 변화 등에 따라, 어느 정도 오차가 있음을 감안해 주시기면 감사허겠습니다.^^) 1. 24절기의 시작..

열매가 붉게 익는 이유와 붉은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들

나무들은 여러가지 다양한 종류의 열매를 맺지만요. https://mjmhpark.tistory.com/m/92 열매의 종류(핵과 이과 장과 협과 시과 수과 삭과 영과)서울식물원 씨앗도서관의 열매에 대한 해설 사진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열매의 분류] 1. 육질과 : 맛난 육질성 열매로 동물을 유인하며, 단단한 씨껍질은 소화기관을 버틸 수 있은 구조 - 장과(mjmhpark.tistory.com 열매를 맺는 이유는 오직 하나, 자신과 같은 후손들을 가능한 멀리까지 퍼트리기 위함이라 하겠는데요. 물론 새를 포함한 동물들이 없었던 시대에는 바람의 힘을 빌어 열매를 날려 보내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었다 하겠지만요. 동물들이 지구상에 나타난 이후에는 움직일 수 없는 나무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동물들을 이용하여..

복수초의 개화과정 타가수분 전략

수분(受粉 Pollination)은 식물의 열매를 맺는 암꽃 또는 암술이 수꽃 또는 수술의 꽃가루(粉)를 받는(受) '가루받이' 과정을 말하는 것이라 하겠는데요. 꽃의 암술머리가 같은 개체 꽃의 꽃가루를 받는 것을 자가수분(自家受粉)이라고 하며, 다른 개체 꽃의 꽃가루를 받는 것을 타가수분(他家受粉)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한 개체에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는 암수한그루(자웅동주 雌雄同株)나, 암꽃 피는 암그루와 수꽃 피는 수그루가 따로 있는 암수딴그루(자웅이주 雌雄異株)의 단성화들은 당연히 암꽃이 수꽃의 꽃가루를 받을 수 밖에는 없겠지만요. 한 꽃에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지고 있음에 보다 화사하고 아름다운 꽃으로 진화한 양성화들은요. 벌과 나비들을 보다 많이 불러들일 수 있다는 화려함만 믿고서, 그냥 멍~..

인도고무나무 벵갈고무나무 인도보리수 떡갈잎고무나무 벤자민고무나무 별빛벤자민고무나무 킹벤자민고무나무 인삼밴자민 인삼팬더

뽕나무과 집안으로, 무화과를 닮은 귀여운 열매를 맺는 무화과나무속 집안의 '고무나무'들을 한자리에 모아 봤는데요. 모두모두 잎을 보고 즐기는 실내 관엽화분으로 인기가 높은 나무들임에, 이참에 관심을 가지고 이름 한 번 불러줘 보시자고요.^^ 1. 보통 그냥 '고무나무'라고 부르는 '인도고무나무'인데요. 학명 Ficus elastica 역시나 라틴어로 '무화과'를 뜻하는 Ficus와 ‘탄력이 있다.’는 뜻의 elastica에서 유래한 것이고요. 반짝반짝 광택이 나는 잎만 기억하시면 이름 불러주시기 어렵지는 읺겠습니다.^^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는 인도, 동남아시아 원산의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열대성 큰키나무로, 잎과 줄기를 자르면 고무의 원료가 되는 흰색의 유액이 흘러나오고, 어긋나는 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