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만큼 땅만큼 행복하게~~
꽃대장 하늘땅의 꽃나무 이야기

꽃나무 이야기방/논어와 나무 이야기

논어 명언(名言) 모음 - 지혜로운(慧) 삶을 위한 말씀들

꽃대장 하늘땅 2022. 3. 12. 07:52
반응형


오늘은 논어 속 명언(名言) 모음 - 일곱 번째 순서로 삶의 지혜가 될 좋은 말씀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화살나무 새순


[혜慧 : 지혜로운 삶을 위한 좋은 말씀]



논어 제4편 이인(里仁)의 열네 번째 문장

子曰 “不患無位 患所以立하며 不患莫己知 求爲可知也니라”(불환무위 환소이립 불환막기지 구위가지야): “지위가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자기의 자격을 근심하며,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알려질 만한 일을 하고자 노력하여라.”


- 이 글은 '높은 자리에 올라 설 수 없음을 걱정하기 전에 그 자리에 오를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지를 먼저 고민해야 하며,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기 전에 남이 알아줄 수 있도록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는 공자님 같으신 말씀이라 하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347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30 - 제4편 이인(里仁) 14 - 담쟁이덩굴, 미국담쟁이덩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4편 이인(里仁)의 열네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不患無位 患所以立하며 不患莫己知 求爲可知也니라”(불환무위 환소이립 불환막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5편 공야장(公冶長)의 열아홉 번째 문장

季文子는 三思而後에 行하였다. 子聞之하시고 曰 “再斯可矣니라”(계문자 삼사이후행 자문지 왈 재사가의): 계문자는 세 번 생각한 뒤에야 행동을 하였다. 공자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말씀하시기를 “두 번이면 되느니라.”


- 이 글은 신중하기로 소문난 노나라 계문자 이야기를 듣고 공자님이 하신 말씀으로, 결정을 내릴 때는 신중하되 결단력도 중요하다 하겠는데요.

장고(長考) 끝에 악수(惡手) 나온다는 말도 있듯, 과한 신중함은 일을 그르치게도 하고, 고민은 또 다른 고민을 낳아, 때를 놓칠 수도 있음을 기억해야 하겠고요.

어니 젤린스키(Ernie J. Zelinski)는 '느리게 사는 즐거움'이란 책에서 우리가 하는 걱정의 96%는 쓸데없는 것들이라고 했는데요. 40%는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들, 30%는 이미 일어난 것들, 22%는 걱정할 필요도 없는 사소한 것들, 4%는 우리가 전혀 어찌 할 수 없는 것들임에, 결국은 우리가 정말로 걱정하고 고민해서 결과를 바꿀 수 있는 일들은 고작 4%에 불과하다는 것.

부디 길지 않은 인생을 살면서, 96%의 쓸데없는 걱정들 때문에 귀중한 삶의 시간을 고민투성이로 만들지는 말아야 하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60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39 - 제5편 공야장(公冶長) 19 - 병꽃나무, 붉은병꽃나무, 흰병꽃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5편 공야장(公冶長)의 열아홉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季文子는 三思而後에 行하였다. 子聞之하시고 曰 “再斯可矣니라”(계문자 삼사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6편 옹야(雍也)의 열 번째 문장

冉求曰 “非不說子之道하나, 力不足也하나이다”하자, 子曰 “力不足者는 中道而廢인데, 今女畵이로다”(염구왈 비불열자지도 역부족야 역부족자 중도이폐 금여획): 염구가 말하길 “선생님의 도(道)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제 능력이 부족합니다.”하자, 공자께서는 “능력이 부족한 자는 도중에 그만두게 되는 것인데, 지금 너는 미리 선을 긋고 물러나 있구나.” 하시었다.


- 이 글은 제자 염구가 자신의 능력이 부족하다 여기고 미리 한계를 정해 놓고서 시도조차 하지 않는 모습을 보시고서 공자님이 꾸짖은 말씀으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청춘들에게도 꼭 전해 주고픈 말씀이라 생각 되는데요.

무엇이든 꿈 꿀 수 있고 무엇이든 될 수 있는 우리 젊음들이 부디 기죽지 말고 열심히 각자의 멋진 꿈들을 이뤘으면 좋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64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43 - 제6편 옹야(雍也) 10 - 산딸기, 줄딸기, 멍석딸기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6편 옹야(雍也)의 열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冉求曰 “非不說子之道하나, 力不足也하나이다”하자, 子曰 “力不足者는 中道而廢인데,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6편 옹야(雍也)의 열여덟 번째 문장

子曰 “知之者는 不如好之者요 好之者는 不如樂之者니라”(지지자 불여호지자 호지자 불여락지자): “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느니라.”


- 이 글은 너무나도 유명한 말씀이지만요. 하기 싫은 공부나 일을 좋아하고 즐기기까지 하라니.. 이거야 원.ㅠㅠ

하지만 세상사 살다보면 하고픈 일보다 해야 할 일들이 더 많은 법,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라는 로버트 엘리엇의 말을 가슴에 새기고서, 긍정적 사고와 행동으로 스트레스를 줄여야 장수 할 수 있을듯 합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68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46 - 제6편 옹야(雍也) 18 - 진달래, 철쭉, 산철쭉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6편 옹야(雍也)의 열여덟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知之者는 不如好之者요 好之者는 不如樂之者니라”(지지자 불여호지자 호지자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6편 옹야(雍也)의 스물한 번째 문장

子曰 “知者는 樂水하며 仁者는 樂山하고, 知者는 動하며 仁者는 靜하고, 知者는 樂하며 仁者는 壽하니라”(지자 요수 인자 요산 지자 동 인자 정 지자 낙 인자 수): “지자(知者)는 물을 좋아하며 인자(仁者)는 산을 좋아하고, 지자(知者)는 동적이며 인자(仁者)는 정적이고, 지자(知者)는 즐겁게 살며 인자(仁者)는 장수하느니라.”


- 이 글에서 지자(知者) 보다도 한 수 위라 할 수 있는 인자(仁者)가 동경하는 삶은 속세(俗)를 떠나 천하절경 산 중에서 도끼자루 썩는지 모르고 유유자적 자연과 하나 되어 살아가는 자연인 같은 삶이 아닐까 생각 되는데요. 꽃나무를 좋아라 하는 꽃대장 역시도 꿈꾸고 있는 삶이라 아니 할 수가 없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70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48 - 제6편 옹야(雍也) 21 - 미선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6편 옹야(雍也)의 스물한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知者는 樂水하며 仁者는 樂山하고, 知者는 動하며 仁者는 靜하고, 知者는 樂하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7편 술이(述而)의 여섯 번째 문장

子曰 “志於道하고 據於德하며 依於仁하고 游於藝이니라”(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예): “군자의 이상적인 삶은 도(道)에 뜻을 두고 덕(德)을 닦으며 인(仁)에 의지하고 예(藝)에서 노니는 것이니라.”


- 이 글은 공자님 스스로 인생을 어찌 살아가야 하는지? 자문자답(自問自答) 하신듯한 말씀인데요. 역시나 공자님다운 멋진 답을 찾으신 것 같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73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50 - 제7편 술이(述而) 6 - 소철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7편 술이(述而)의 여섯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志於道하고 據於德하며 依於仁하고 游於藝이니라”(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8편 태백(泰伯)의 열네 번째 문장

子曰 “不在其位면 不謀其政하라”(부재기위 불모기정): “그 자리에 있지 않다면 그 자리의 정사를 논하지 말아야 하느니라.”


- 이 글은 간단히 ‘본인 일이 아니면 함부로 나서지 말라’는 말씀인데요. 특히나 남에 대한 좋지 않은 언사는 더욱 조심해야 하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82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58 - 제8편 태백(泰伯) 14 - 산수국, 수국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8편 태백(泰伯)의 열네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不在其位면 不謀其政하라”(부재기위 불모기정): “그 자리에 있지 않다면 그 자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9편 자한(子罕)의 열여섯 번째 문장

子 在川上曰 “逝者 如斯夫인저 不舍晝夜로다.”(자 재천상왈 서자 여사부 불사주야): 공자께서 냇가에서 말씀하시길 “흘러가는 모든 것이 이 물과 같아서 밤낮 없이 멈추지 않는구나.”


- 이 글은 공자님께서 냇가의 흐르는 물을 보시면서, 제자들에게는 흘러가는 세월을 그냥 멍~때리며 헛되이 보내지 말라는 충고를 전함과 동시에, 당신에게는 인생무상(人生無常) 덧없는 삶의 회한을 담아낸 말씀이라고 생각되는데요.

가는 세월을 잡아 둘 수는 없겠지만 하루하루가 쌓여 세월이 되는 법, 오늘에 충실하고 오늘을 행복하게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86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62 - 제9편 자한(子罕) 16 - 화살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9편 자한(子罕)의 열여섯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 在川上曰 “逝者 如斯夫인저 不舍晝夜로다.”(자 재천상왈 서자 여사부 불사주야):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11편 선진(先進)의 열다섯 번째 문장

子曰 “過猶不及이니라.”(과유불급): 자공이 자장과 자하 중 누가 더 현명하냐고 묻자, 공자님은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부족하다’ 말씀 하셨으며, ‘그럼 자장이 더 낫습니까?’ 하고 다시 묻자, 공자님은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으니라” 하시었다.


- 이 글은 '지나친 욕심과 과한 행동은 차라리 부족함만 못할 수 있다'는 교훈을 주고 있는 유명한 말씀인데요.

즐거운 술자리에서도 적당한 음주와 가무는 분위기 살리는데 도움이 되겠지만요. 너무 오버하다가 과유불급(過猶不及)의 사태를 만들진 말아야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95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68 - 제11편 선진(先進) 15 - 모란, 작약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1편 선진(先進)의 열다섯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過猶不及이니라.”(과유불급): 자공이 자장과 자하 중 누가 더 현명하냐고 묻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12편 안연(顔淵)의 열한 번째 문장

子曰 “君君臣臣 父父子子니라.”(군군신신 부부자자):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하느니라.”


- 이 글은 제나라 임금 경공의 정치에 대한 물음에 공자님이 주신 답으로, 한 마디로 말하면 명분을 바로 잡는다는 정명(正名)이라 할 수 있는데요.

명분(名分)은 각각의 위치에 따라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하는 것임에, 결론적으로는 군신(君臣) 부자(父子) 부부(夫婦) 등의 관계가 종속이 아닌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이상적 관계를 이루어 가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400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72 - 제12편 안연(顔淵) 11 - 층꽃나무, 층층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2편 안연(顔淵)의 열한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君君臣臣 父父子子니라.”(군군신신 부부자자):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14편 헌문(憲問)의 서른일곱 번째 문장

~子曰 “不怨天하고 不尤人하니라.”(불원천 불우인):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탓하지도 않느니라.”


- 이 글은 공자님이 당신을 알아 봐 주는 군주가 없어 뜻을 펼칠 수가 없었음에도 “하늘을 원망하거나 남을 탓하지도 않겠다.”하신 것으로, 삼국지에서 유래한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을 다 하고서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는 말과도 일맥상통.

일을 하다가 혹여 실수나 실패가 있더라도 당당히 자신의 잘못과 책임을 인정하며, 사면초가(四面楚歌)의 어려움에서도 최선을 다한 후에 하늘의 뜻을 기다리는 멋진 삶을 살아가야 하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417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85 - 제14편 헌문(憲問) 37 - 쥐똥나무, 광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4편 헌문(憲問)의 서른일곱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不怨天하고 不尤人하니라.”(불원천 불우인):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다른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15편 위령공(衛靈公)의 열한 번째 문장

子曰 “人無遠慮하면 必有近憂니라.”(인무원려 필유근우): “사람이 먼 앞날을 생각치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시일에 근심이 생기느니라.”

- 이 글은 ‘준비를 미리 해 두면 근심걱정이 없다’는 뜻의 사자성어 유비무환(有備無患)과 함께, 나라를 지키시는 분들이나 두루두루 나라의 정책을 결정 하시는 높은 분들이 자주 인용하고 있는 말씀 중 하나라 하겠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421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88 - 제15편 위령공(衛靈公) 11 - 목련, 백목련, 자목련, 자주목련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5편 위령공(衛靈公)의 열한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人無遠慮하면 必有近憂니라.”(인무원려 필유근우): “사람이 먼 앞날을 생

mjmhpark.tistory.com




논어 제17편 양화(陽貨)의 네 번째 문장

“割鷄에 焉用牛刀리오.”(할계 언양우도): “닭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리오.”

- 이 글은 논어에서 보기 드물게 공자님이 농담조로 하신 말씀이라 생각이 되는데요.

이후에는 ‘소 잡는 칼로 닭 잡는다.’라는 사자성어 우도할계(牛刀割鷄)로 전해지고 있으며, 요즘에는 ‘대포로 참새 잡는다.’ 등의 재미난 말들도 생겨나고 있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441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102 - 제17편 양화(陽貨) 04 - 백정화, 구슬꽃나무(중대가리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7편 양화(陽貨)의 네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割鷄에 焉用牛刀리오.”(할계 언양우도): “닭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리오.” - 이

mjmhpark.tistory.com




고운 빛깔의 화살나무 단풍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