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부처님 오신 날'을 앞두고서, 불교 또는 부처님이나 스님(중)과 관련된 이름을 가진 꽃과 나무들을 한 자리에 모아 봤습니다.^^
연꽃과 연꽃(Nelumbo nucifera) - East indian lotus


불교를 상징하는 꽃 연꽃은 인도의 국화(나라꽃)이기도 합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137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인도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남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네 번째 순서로, 남아시아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구 13억8천만명으로 세계1위 중국(14억2백만명)을
mjmhpark.tistory.com
뽕나무과 인도보리수(Ficus religiosa) - Indian barley tree

불교를 상징하는 부처님의 깨달음 나무 보리수(菩提樹)는 우리나라애서는 살 수 없는 아열대성나무인 인도보리수입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182
보리수나무 보리밥나무 보리장나무 뜰보리수 인도보리수 보리자나무 유럽피나무 비교
우리나라에는 '보리수'라고 불리는 나무들이 너무나도 많아서, 꽃대장이 나무공부를 시작 할 때 어려워 했던 기억이 나는데요.^^ 정리도 할 겸, 보리수나무, 보리밥나무, 보리장나무, 뜰보리수,
mjmhpark.tistory.com
부처꽃과 부처꽃(Lythrum salicaria subsp. anceps) - Purple loosestrife


음력 7월15일 백중날에 승려들이 불전에 제를 올리면서 연꽃을 대신하여 부처님께 바쳤다 하여 부처꽃이란 이름을 얻었다고 합니다.
부처꽃과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 Crape myrtle


불교 사찰에서 사랑을 받고있는 부처꽃과의 부처나무 배롱나무는 붉은 꽃이 100일동안 핀다 하며 목백일홍(木百日紅)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826
우리 나무 이야기 75 : 배롱나무 목백일홍 백일홍나무 흰배롱나무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꽃보기 힘든 여름철, 불볕 더위속에서도 여름 내내 화사한 꽃을 피워 내는 '배롱나무'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배롱나무'의 고향은 중국 남부지방으로 추위에 약한 탓에
mjmhpark.tistory.com
국화과 금불초(Inula japonica) - Oriental yellowhead

여름에 피는 국화 하국(夏菊)이라 불리기도 하며, 꽃 전체가 노란 금물을 입혀 놓은 불상 같은 황금빛이라 금불화(金佛花) 금불초(金佛草)란 이름을 얻었다고 합니다.
부처손과 부처손(Selaginella involvens) - Tree spikemoss


건조한 시기에 잎사귀가 둥글게 말려있는 모양이 주먹을 쥔 부처님 손처럼 보임에 보처수(補處手) 부처손이란 이름을 얻었다고 합니다.
인동과 불두화(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 Snowball tree


하얀색 둥근 꽃뭉치가 부처님의 머리를 닮아 불두화(佛頭花)란 이름을 얻었습나다.
https://mjmhpark.tistory.com/m/803
우리 나무 이야기 54 : 백당나무 불두화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부처님 오신 날'을 전후하여 부처님 머리모양의 특이한 꽃들을 풍성하게 피우는,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집안의 ‘불두화(佛頭花)’를 소개해 드릴까 하는데요. 불두화 소
mjmhpark.tistory.com
꼭두서나과 구슬꽃나무(Adina rubella) - Glossy adina

두상(머리모양)꽃차례로 모여 피는 꽃이 중의 머리를 연상케 한다고 승두목(僧頭木) ‘중대가리나무’라 불리다가 구슬꽃나무로 개명을 하였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856
우리 나무 이야기 104 : 백정화 단정화 중대가리나무 구슬꽃나무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지난번에 소개해 드렸던 '호자나무'와 '치자나무'처럼 꼭두서니과 집안의 '백정화'와 '중대가리나무'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아침부턴 뭔 백정과 땡중이다냐? 안동 하회
mjmhpark.tistory.com
때죽나무과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 Snowbell tree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열매들이 떼로 모여 있는 중들의 머리를 닮아다 하여 떼중나무라고 불리다 때죽나무가 되었다고 합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798
우리 나무 이야기 49 :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 집안의 형제지간으로 서로 닮은 꽃을 피움에, 많이들 헷갈려 하시는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이 나무들은 우리나라 산
mjmhpark.tistory.com
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Toona sinensis) - Red toon

스님들이 봄에 돋는 새순을 즐겨 먹었음에, 중들이 좋아하는 나무 중나무라 불렸던 진짜 중나무인 진승목(眞僧木) 참중나무란 이름을 얻었습니다.
소태나무과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 Varnish tree

참죽나무와 모습은 닮았지만 새순을 먹을 수 없는 가짜 중나무인 가승목(假僧木) 가중나무로 불라다가 가죽나무가 되었습니다.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Koelreuteria paniculata) - Goldenrain tree


꽈리 같은 열매 속 콩알 같은 씨앗으로 목에 감는 염주를 만들 수 있어서, '목감주나무'라 불리기도 합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825
우리 나무 이야기 74 : 모감주나무 무환자나무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살짝 꽃 피는 시기를 놓쳐 버린 듯, 아쉬움이 크지만요. 꽃이 한창 필 때면 하늘에서 황금비가 내리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 영어이름이 Goldenrain Tree인 '모감주나무'를 소개
mjmhpark.tistory.com
석죽과 동자꽃(Lychnis cognata) - Orange campion

아기 동자의 슬픈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야생화입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29
동자꽃 전설 꽃말
오늘은 눈이 펑펑 내리는 겨울이면 떠오르는 야생화 전설 하나를 전해 드릴까 합니다. 설악산 마등령 아래에 자리한 오세암의 다섯살 동자승 전설과 스토리의 전개는 비슷하지만요. '동자꽃'의
mjmhpark.tistory.com
'꽃나무 공부방 > 꽃나무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리목 연리지 정의와 차이 (2) | 2024.09.12 |
---|---|
국립공원 깃대종 소개 및 국립공원별 깃대종(식물) 학명 영어이름 사진 (0) | 2024.04.17 |
먹거리 곡식 이름이 들어간 나무들 (0) | 2023.04.08 |
봄꽃 피는 순서 - 절기(節氣) 기준 꽃나무 개화 순서 (0) | 2023.03.20 |
열매가 붉게 익는 이유와 붉은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들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