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만큼 땅만큼 행복하게~~
꽃대장 하늘땅의 꽃나무 이야기
반응형

전체 글 924

광명시 도덕산 출렁다리

국내 최초의 Y자형 출렁다리인 도덕산 인공폭포 출렁다리를 잠시 다녀왔습니다. 위치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317-80설 명 : 도덕산 출렁다리는 도덕산 인공폭포 상부와 등산로 2곳을 연결하는 높이 20m, 길이 82m, 폭 1.5m의 Y자형 출렁다리로, ‘초록빛 숲과 인공폭포,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만남과 화합을 상징하고 있다. 출렁다리 중앙부에서는 인공폭포를 배경으로 멋진 추억을 남길 수 있다.[출처] : 광명시청도덕산 출렁다리가 있는 도덕산도시자연공원으로 가기 위해서는요.  7호선 광명사거리역 4번출구를 나와, 광명사거리역(한진아파트) 정류장에서 12번이나 11-1번 버스를 타시면 되지만요.  놀멍쉬멍 20~30분 걸어가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도덕산은 광명시 하안동, 철산동, 광명동에 걸..

연리목 연리지 정의와 차이

연리(連理)는 가깝게 자라던 두 나무, 정확히는 각각의 뿌리를 가지고 있는 두 그루의 나무가 서로 합쳐져서 한 나무처럼 자라고 있는 현상을 말하는 것인데요.나무의 몸통인 줄기가 서로 합쳐져 있으면 연리목(連理木)이라고 하며, 나무의 가지가 서로 붙어서 이어져 있으면 연리지(連理枝)라고 합니다.그런데 연리(連理) 중에서도, 가까이 붙어서 부피 생장을 하며 덩치를 키우던 두 나무의 몸통이 서로 붙는 연리목은 가끔씩 만날 수가 있지만요.가지가 서로 붙는 연리지는 연리목 보다 만나기가 쉽제 않은데요. 가지는 서로 맞닿아 서로 붙어 있다가도 태풍처럼 큰 바람에 다시 떨어져 버리거나, 결국 세력이 약한 나무의 가지가 죽어 버리기 때문이라 하겠습니다.연리목과 연리지는 영어로 융합쌍생아(샴쌍둥이) Conjoined t..

단풍나무 전설 꽃말

보일랑 말랑 보잘 것 없는 자잘한 꽃들을 피우지만요. ^^가을에 붉게 물드는 아름다운 잎과 하늘을 비행 할 수 있는 시과 열매를 맺는 단풍나무에게도 전설이 하나 있어서, 꽃말과 함께 소개해 드립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843 우리 나무 이야기 93 : 단풍나무 당단풍나무 세열단풍 공작단풍 홍단풍 세열홍단풍 공작홍단풍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지난번에 소개해 드렸던 '산겨릅나무'와 '고로쇠나무'가 속해 있는 단풍나무과 집안의 '단풍나무'와 '당단풍나무'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가을에 빨갛게 물드는 잎이 아mjmhpark.tistory.com [단풍나무 전설] 옛날옛날 어느 작은 왕국에 공주만 셋을 둔 아들복 없는.. 아니 딸복 무지 많은 왕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대중교통으로 다녀 올 수 있는 수도권의 스탬프 투어 수목원

국립세종수목원(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주관으로 2022년 9월부터 시작된 [수목원·정원 스탬프 투어] '꽃들과 함께 걷는 아름다운 동행'은요.스탬프 투어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수목원, 식물원, 정원을 방문하시어, 수목원·정원 스탬프 투어 스탬프함 속에 비치되어 있는 스탬프북에 스탬프를 찍으시고요.스탬프를 3개 찍으면 [반려식물 키트]를..6개부터 9개 12개 15개.. 는 [우리나라 자생식물 기념주화]를 1개 2개 3개 4개.. 받으실 수가 있는데요.2024년 4월부터는 수도권과 강원 충청권에 위치한 수목원들도 다수 스탬프투어 운영기관으로 등록하면서, 현재는 전국에 총 43곳의 수목원과 식물원, 정원들이 스탬프 투어에 참여 중에 있고요.서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어렵지 않게 다녀 올 수 있는 수목원들도..

덕적도 섬 트레킹 (서포리해수욕장~낙조대쉼터~큰이마~밧지름해변~진리선착장)

덕적도에서의 두 번째 트레킹은 서포리해수욕장을 출발하여 서포리선착장의 밧내음 산책로를 잠시 돌아 본 후에.. 덕적남로(도로)를 따라서, 낙조대쉼터~ 큰이마~ 밧지름해변~ 도끝부리~ 진리선착장까지 놀멍쉬멍 4시간 정도를 걸어 보았습니다. 교통편 :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덕적도행 배를 타고서 진리 선착장에 도착, 기다리고 있던 서포리행 버스(1000원, 교통카드 가능)를 타시면 어렵지 않게 서포리해수욕장까지 이동할 수가 있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918 덕적도 배편 및 버스 택시 이용 정보코로나19 초기에 1박2일 여행으로 재미나게 다녀왔던 환상의 섬 덕적도를 이번엔 산행 & 트레킹을 위해 간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

덕적도 섬 트레킹 (벗개저수지~바갓수로봉~서포리해수욕장)

덕적도 서포2리 주민센터를 시작점으로 해서, 벗개저수지를 지나 바갓수로봉을 다녀 온 후에, 서포리해수욕장까지 걸어 보았습니다. 교통편 :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덕적도행 배를 타고서 진리 선착장에 도착, 기다리고 있던 서포리행 버스(1000원, 교통카드 가능)를 타시면, 어렵지 않게 종점인 서포2리 주민센터 앞 까지 이동할 수가 있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918 덕적도 배편 및 버스 택시 이용 정보코로나19 초기에 1박2일 여행으로 재미나게 다녀왔던 환상의 섬 덕적도를 이번엔 산행 & 트레킹을 위해 간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919 덕적도 서포리~비조봉~운주봉 산행무mjmhpark.tistory.com 트레..

덕적도 서포리~비조봉~운주봉 산행

https://mjmhpark.tistory.com/m/918 덕적도 배편 및 버스 택시 이용 정보코로나19 초기에 1박2일 여행으로 재미나게 다녀왔던 환상의 섬 덕적도를 이번엔 산행 & 트레킹을 위해 간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919 덕적도 서포리~비조봉~운주봉 산행무mjmhpark.tistory.com무더운 여름날, 덕적도 서포리운동장을 출발하여 반시계반향으로, 비조봉(292m)과 운주봉(231m)을 돌아 서포리운동장으로 다시 돌아오는 원점회귀 짧은 산행을 해 보았습니다. 산행코스 : 덕적면 종합운동장(서포리운동장) ~ 바다향기펜션~ 등산로입구~ 감투바위 능선삼거리~ 비조봉~ 망재사거리~ 운주봉~ 망재사거리~ 서포리운동장 산행시간 : 약 2시간..

덕적도 배편 및 버스 택시 이용 정보

코로나19 초기에 1박2일 여행으로 재미나게 다녀왔던 환상의 섬 덕적도를 이번엔 산행 & 트레킹을 위해 간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919 덕적도 서포리~비조봉~운주봉 산행무더운 여름날, 덕적도 서포리운동장을 출발하여 비조봉(292m)과 운주봉(231m)을 돌아 서포리운동장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 짧은 산행을 해 보았습니다. 산행코스 : 덕적면 종합운동장(서포리운동mjmhpark.tistory.com 덕적도(德積島)는 ‘큰물섬’이라는 순 우리말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물이 깊은 바다 위에 떠있는 섬’이라는 의미로 한자화된 덕물도(德勿島)라 불리다가,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인들이 거주하면서 “섬 사람들이 어질고 덕이 많다”하여 덕적도라 칭하게 되면서 한자 ..

도심 속 문화 산책로 ‘경의선 숲길’의 꽃과 나무들

버려진 경의선 철길을 따라 조성된 도심 속 문화 산책로 [6.3Km 선형 공원 경의선 숲길]을 효창공원앞역을 시작으로 공덕역~ 서강대역~ 홍대입구역~ 가좌역까지 놀멍쉬멍 걸어 보았고요.걸으면서 만난 예쁜 꽃과 나무들의 이름표도 붙여 보았습니다.^^ 구간별 안내도는 동에서 서쪽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걸었습니디.^&^ 효창공원앞역 4번출구에서 출발~~ 국화과 금불초국화과 벌개미취비름과 색비름(Amaranthus tricolor)칸나과 노랑칸나백합과 원추리백합과 홑왕원추리 https://mjmhpark.tistory.com/m/622 원예종 꽃이야기 139 : 원추리, 왕원추리, 홑왕원추리오늘의 아침꽃인사는 백합과 아이들 소개 세 번째 순서로, 우리나라 산야에서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 야생화이면서, ..

앵초 설앵초 큰앵초 줄리안앵초 오브코니카앵초 블레이아나앵초 카피타타앵초 비알리앵초

앵초과 집안의 앵초(Primula)속 가족들을 모아 봤는데요. 참고로 앵초의 속명 Primula는 라틴어로 '처음' 또는 '선두'라는 뜻을 가진 primus에서 유래 하였다고 함에, 앵초는 봄에 처음으로 만나는 꽃이란 의미이며, 2월과 5월의 첫날인 2월1일과 5월1일의 탄생화이기도 하답니다. 우선 우리 한반도에 자생하고 있는 앵초들부터 소개해 드리면요. 1. 영어이름 East Asian primrose에서 알 수 있듯이 한반도와 동아시아에 자생하고 있는 앵초(Primula sieboldii)는요. 요즘 복수초처럼 수목원이 아닌 공원의 화단꽃으로도 종종 만날 수가 있답니다. 앵초(Primula sieboldii)는 한반도를 비롯한 시베리아, 중국 동부, 일본 원산의 앵초과에 속하는 키 20~30cm 정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