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9편 자한(子罕)의 서른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唐棣之華여 偏其反而로다. 豈不爾思리오마는 室是遠而로다.’ 子曰 “未之思也언정 夫何遠之有리오”(당체지화 편기반이 기불이사 실시원이 자왈 미지사야 부하원지유): ‘산앵도나무 꽃이 바람에 나부끼네. 내 어찌 그댈 그리워하지 않으리오마는, 그대 머무는 곳이 너무 멀구나.’ 공자님이 이 시에 대해 말씀하시길 “그리워하지 않는 것이지, 진정 그리워한다면 어찌 거리가 멀 까닭이 있겠는가?”
- 이 글은 공자님이 '님 그리는 마음이 부족하지 않다면 거리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신 것이지만요. 다른 한편으로는 '하고자 하는 의지와 노력이 있다면 어려움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고도 해석 될 수 있는데요.
꽃대장이 이 글을 읽으며 떠올린 나무는 당연히 '앵도나무'였고요. 공자님이 이렇게 나무이름이 들어간 말씀들을 많이 해 주셨더라면 [논어와 나무 이야기]는 그냥 날로 먹을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생각도 해 보았답니다.^^ -

장미과 벚나무속의 키작은 떨기나무 '앵도나무'는요.
믿어도 되나요 당신의 마음을 흘러가는 구름은 아니겠지요~
믿어도 되나요 당신의 눈동자 구름속의 태양은 아니겠지요~
사랑한단 그 말 너무 정다워 영원히 잊지를 못해~
철없이 믿어버린 당신의 그 입술 떨어지는 앵두는 아니겠지요~
'이 건 뭐지?' 하셨다면 신세대요. '그땐 정말 히트곡이였지!' 하셨다면 쉰세대라 하겠는데요.^^

오동잎 가수 최헌의 '앵두'라는 노래와 앵두나무 우물가의 동네처녀가 바람나서 서울로 떠났다는 '앵두나무 처녀'라는 노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이 앵두라고 알고 있는 이 아이의 본명은 '앵두나무'가 아닌, 한자이름 앵도(櫻挑)에서 온 '앵도나무'가 맞는데요.

열매가 작고 이뻐서 꾀꼬리가 먹는 복숭아라는 뜻의 앵도(鶯桃)라고 불리다가 앵도(櫻桃)로 변했다 하지만요. 앵도 보다는 앵두가 부르기 편해서 일까? 대부분 앵두라 부르고 있음에, 국어사전 속 표준어 역시나 '앵두'로 표기하고 있지만요. 어찌된 일인지 우리나라 생물종들의 정명을 알 수 있는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국생종)에는 아직도 '앵도나무'가 정명이며 '앵두나무'는 이명으로 기록되어 있더군요.

앵도나무는 매실나무 보다 훨 늦은 4월경에 꽃을 피우지만 과실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두 달 정도면 열매가 성숙하여 6월이면 맛난 앵두를 맛 볼 수가 있는데요.
앵도꽃의 특징은 작다 싶은 아담사이즈 꽃의 꽃자루가 짧아서 꽃이 가지에 자잘하게 붙어 피는 듯 보이며, 꽃이 피면서 바로 잎이 따라 나기 때문에 매화나 살구꽃과 달리 꽃과 잎을 같이 볼 수도 있고요. 잎자루와 잎 뒷면에는 잔털이 뽀송한 특징도 가지고 있답니다.

앵도나무의 꽃말은 별당아씨 여린 볼 느낌의 꽃과 붉은 입술 느낌의 열매와 딱이다 싶은 '수줍음'이라고 합니다.

왼쪽 컷은 ‘앵도나무’의 꽃 사진이며, 오른쪽 컷은 맛난 ‘앵두’ 사진입니다.

앵도나무(Prunus tomentosa)는 중국 원산의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키 2~3m 정도의 작은키 떨기나무로, 4월경에 잎보다 먼저 피거나 같이 피는 백색 또는 연분홍빛 꽃은 꽃받침조각과 꽃잎이 5개이며, 가지에 어긋나는 거꿀달걀형의 잎에는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으며, 6월경에 붉은색으로 성숙하는 핵과 지름 1cm 정도의 둥근 열매에도 잔털이 있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3
공원의 봄 나무꽃 종류(매화 살구꽃 벚꽃 앵두꽃 자두꽃 복사꽃 배꽃 사과꽃)
3월과 4월은 겨울 한파를 이겨낸 공원의 나무들이 화려한 꽃을 피우는 봄맞이 상춘의 달입니다. 하지만, 봄에 꽃을 피우는 나무들은 대부분 흰색이나 연분홍빛 꽃을 피우면서, 모양도 크기도 서
mjmhpark.tistory.com
.
'꽃나무 이야기방 > 논어와 나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68 - 제11편 선진(先進) 15 - 모란, 작약 (0) | 2021.12.24 |
---|---|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67 - 제11편 선진(先進) 11 - 향나무 (0) | 2021.12.23 |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64 - 제9편 자한(子罕) 27 - 소나무, 반송 (0) | 2021.12.20 |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63 - 제9편 자한(子罕) 21 - 가래나무, 호두나무 (0) | 2021.12.17 |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62 - 제9편 자한(子罕) 16 - 화살나무 (0) |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