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만큼 땅만큼 행복하게~~
꽃대장 하늘땅의 꽃나무 이야기
반응형

꽃나무 이야기방/세계 나라꽃 이야기 96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우크라이나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동유럽 나라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두 번째 순서로, 1991년 소비에트연방(소련)의 붕괴로 독립한 러시아 서쪽, 한반도 면적의 3배가 넘는 덩치 큰 나라인 우크라이나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우크라이나는 영국, 프랑스, 독일 등과 비슷한 위도상에 위치, 우리나라 처럼 사계절이 뚜렷한 살기좋은 기후를 가지고 있음은 물론, 천연가스와 같은 지하자원도 풍부한 축복의 땅이지만요. 1986년 수도 키예프 북쪽 벨라루스와의 경계에 위치한 체르노빌 원전이 폭발하는 끔찍한 사고를 겪은 불운의 나라로도 기억 되고 있는데요. 최근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방사능에 오염된 땅에 심어진 해바라기가 오염물질을 흡수, 땅의 회복을 도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여러 꽃 나..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러시아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아시아 대륙의 국가들 소개를 끝내고서 유럽 대륙 국가들의 나라꽃 알아보기를 시작. 유럽(Europe)은 그리스 신화에서 황소로 둔갑한 제우스에게 납치, 서쪽으로 가서 지금의 유럽 땅에서 살았다고 하는 에우로페(Europe) 이야기에서 그 이름이 유래 되었다는 설과, 고대 메소포타미아 국가인 아시리아(Assyria)인들의 언어로 '해가 지는 땅' Erebu에서 유래 되었다는 설 등이 있습니다. [동유럽 나라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첫 번째 순서로, 국토의 대부분이 아시아 북쪽에 위치하고 있어, 북아시아로 분류하기도 하지만요. 수도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인구의 대부분(80%)이 유럽권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동유럽으로 분류되고 있는 러시아를 소개해 드릴까..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우즈베키스탄 트루크메니스탄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세 번째와 네 번째 순서로, 카자흐스탄 남서쪽에 위치한 이슬람국가인 우즈베크 민족이 살고 있는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멘 민족이 살고 있는 투르크메니스탄을 함께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한반도의 두배가 넘는 큰덩치와 세계 최대의 면화 & 천연가스 수출국으로 유명한 이 나라들을 세트로 묶어서 1타2피로 소개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요. 아쉽게도 두 나라 모두 나라꽃이 지정되어 있지 않음에, 오늘은 간단히 두 나라의 국기와 수도만을 알려 드릴 수 밖에 없는 까닭이랍니다.^^ 우선 나라별 국기 알아보기. 두 나라 국기에는 모두 이슬람국가 답게 초승달과 별이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고요. 첫 번째로 우즈베키스탄의 국기는 ..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키르기스스탄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두 번째 순서로, 카자흐스탄 남동쪽의 산이 많은 내륙 국가인 키르기스 민족이 살고 있는 키르기스스탄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키르기스스탄의 국기는 붉은색 바탕에 만화영화 피구왕 통키가 날리는 불꽃슛~의 느낌이 팍 오는^^ 황금빛 태양을 가운데에 그려 넣었는데요. 태양을 둘러싼 40개의 햇살은 키르키스 민족의 40개 부족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며, 태양 안에 그려져 있는 줄무늬 문양은 몽골의 게르와 비슷한 키르기스스탄 유목민들의 전통적 천막인 유르트(yurt)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흔히 키르기스스탄(Kyrgyzstan)이라 부르는 키르기스 공화국(Kyrgyz Republic)의 인구는 약 6백만명이며, 키르..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카자흐스탄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서아시아 국가들의 뒤를 이어, 1991년 소련(소비에트 연방)의 해체과정에서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나라들이 모여 있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나라꽃 알아보기를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첫 번째 순서로, 중앙아시아의 거인으로 세계에서 9번째 땅덩어리를 자랑하는 카자흐스탄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카자흐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나라들의 공통점은요. 모두가 이슬람 국가이며, 나라의 이름이 ~스탄으로 끝나고, 국기에는 태양이나 달, 별들이 그려져 있다는 것인데요. 일전에 말씀 드린 바와 같이 ~stan은 영어로 state라는 의미로, 카자흐스탄은 '카자흐 민족이 살고 있는 땅'이라는 뜻이고요. 카자흐스탄의 국..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서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마지막 여덟, 아홉, 열 번째 순서로, 페르시아만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고만고만한 나라들을 세트로 묶어서 모둠으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이 나라들은 모두 이슬람 국가로, 땅덩어리는 좀 작지만요. 조상 잘~ 만난 福으로 석유가 펑펑~ 쩐이 무지무지 많은 나라들인데요.^^ 배가 마이 아픈께로^^ 그냥 간단 소개 모드로 전환하여,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순으로 휘리릭~~ 소개 드릴 예정입니다.^^ 카타르의 위아래 두 나라는 국기도 아삼삼 하며, 나라꽃도 난생 첨 들어보는 꽃들인지라, 카타르만 조금 자세히 소개해 드리고요. 쿠웨이트와 아랍에미리트는 인구, 수도, 국기 모양만 간단히 확인해 볼텐데요.^^ 쿠..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이스라엘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서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일곱 번째 순서로, 요르단의 서쪽 지중해에 자리잡은 세계 유일의 유대(Judaism)국가인 이스라엘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이스라엘 국기는 백색 바탕의 위 아래로 파란색 띠가 그려져 있으며, 그 사이에 파란색으로 다윗의 6각별을 그려 넣었는데요. 파란색은 유대교의 상징색으로, 유대성직자의 어깨걸이 색도 파란색이고요. 우리가 흔히 이스라엘(Israel)이라 부르는 이스라엘국(State of Israel)의 인구는 약 920만명이며, 이스라엘의 수도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인 예루살렘(Jerusalem)이고, 나라꽃은 별도로 지정 된 것은 없지만,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올리브나무(Olea europae..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요르단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서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여섯 번째 순서로, 시리아와 사우디아라비아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스라엘과는 요르단강과 사해를 경계로 삼고 있는 나라인 요르단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요르단 국기도 주변 아랍국가들과 비슷,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만 제국에 반란을 일으킨 아랍반란의 깃발에서 따온 것으로 흑색-백색-초록색 가로형 3색기 왼쪽에 빨간색 삼각형이 있고, 삼각형 안에는 흰색으로 칠각별을 그려 넣었는데요. 7각의 샛별은 코란 첫장의 7개 행을 뜻한다 하고요. 우리가 흔히 요르단(Jordan)이라 부르는 요르단 하심 왕국(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의 인구는 약 1천만명이며, 수도는 암만(Amman)이..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튀르키예(터키)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서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다섯 번째 순서로, 시리아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교두보 역활을 하고 있는 튀르키예(터키)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2022년6월 터키는 튀르키예(Turkiye)로 국명을 바꾸었기 때문에, 이후에 글들은 모두 튀르키예로 수정합니다. 튀르키예는 시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지라, 시리아 난민을 가장 많이 수용한 나라이지만요. 세 살 남자아이의 시신이 튀르키예 해변에서 발견되면서, 같은 이슬람 국가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난민을 수용했어야 하는 거 아니냐는 억울한 비판을 받기도 했고요. 튀르키예는 중세 오스만제국의 뒤를 잇는 뼈대? 있는 국가로써, 국민의 대부분이 이슬람(수니파 다수) 신자인 ..

국가별 국기 수도 나라꽃 알아보기 - 시리아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서아시아 국가들의 국기(國旗), 수도(首都), 나라꽃(國花) 알아보기] 네 번째 순서로, 아라비아반도 북서쪽에 위치한 시리아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시리아는 1944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1958년 이집트와 통합하여 아랍 연합 공화국을 결성한 적이 있었지만요. 1961년 양국의 견해차와 군사 구테타로 다시 분리가 되었으며, 2011년부터는 중동지역 '아랍의 봄' 영향으로 반군과 정부군 사이의 내전이 발생, 내전을 피해 외국으로 피난을 떠나는 난민들이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나라이고요. 시리아의 국기는 적색-백색-흑색의 가로형 3색기(예멘 국기)로 가운데 흰 줄무늬 안에 두 개의 초록색 별 그려 넣었는데요. 별 두 개는 아랍연합을 구성했던 이집트와 시리아를 뜻하는 것이라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