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古都) 서울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들(11개 18그루) 외에도요.
https://mjmhpark.tistory.com/m/932
서울의 천연기념물 나무들
국가가 법률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자연물을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이라 하는데요.참고로 2021년11월19일부터는 문화재청이 국보‧보물‧사적‧천연기념물 등 국가지정‧국가등록문화재
mjmhpark.tistory.com
산림청 자료(2023년12월 말) 기준으로 느티나무 98, 은행나무 48, 회화나무 17, 향나무 13, 소나무 8, 기타 수종 18, 총 202그루의 보호수(노거수)가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역시나 서울의 중심이라 할 종로구에 가장 많은 30그루가 있으며, 특히나 소나무는 8그루 중 5그루가 종로구에 있었지만요.
대부분의 소나무는 잘 사는 부자집의 조경수가 대부분인지라, 아쉽지만 일반인들이 편하게 둘러 볼 수 있는 소나무는 석파정 소나무와 종친부 경근당 소나무 뿐이었고요.
소나무처럼 겨울에도 푸르른 상록수는 사직단 향나무 1그루 뿐이었습니다.^^
1. 부암동 석파정 소나무

흥선대원군 별장 석파정은 원래 조선말기 철종 때 영의정을 지냈던 중신(重臣) 김흥근(金興根·1796~1870년)의 별장이었지만요.

이 곳을 탐냈던 흥선대원군이 김흥근에게 여러차례 팔라고 요청을 하였지만 거절을 당하자, 고종 즉위 이후에 아들인 고종과 함께 이곳을 방문하여 머물게 하는 잔머리 전략으로..^^

임금이 묵은 곳에서는 신하가 살 수는 없다는 성리학 예법에 따라, 결국 김흥근은 흥선대원군에게 이 곳을 넘겼다 하고요.
그후 흥선대원군은 주변 풍경이 온통 바위산이라 자신의 호도 석파(石坡)로 바꾸었으며, 개울의 정자도 석파정(石坡亭)이라 하였다고 합니다.



석파정(石坡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조선 고종(재위 1863∼1907)의 친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별장으로 원래는 김흥근의 소유였던 것을 고종 즉위 후 대원군이 사용하였다. 한국전쟁 후 고아원·병원 등으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개인소유 건물이다.
정자의 앞산이 모두 바위라 대원군이 ‘석파정(石坡亭)’이라 이름지었으며 삼계동 정자라 하기도 한다. 커다란 바위와 바위산에서 흐르는 시냇물, 뜰에 서 있는 소나무를 배경으로 한 석파정은 매우 아름답다. [국가유산포털]
현재 석파정 소나무를 보기 위해서는요.


사설 미술관인 서울미술관(입장료: 성인 20,000원, 경로 13,000원) 입장, 미술관을 관람하신 후에요.

미술관 옥상을 통해서만 출입이 가능합니다.


부암동 석파정 소나무(천세송)

- 소재지: 서울 종로구 부암동 201
- 수령: 지정일 기준 180년
- 지정(등록): 1968.07.03 보호수 서1-16




흥선대원군의 별장 앞에 있는 이 소나무는 흥선대원군이 벗으로 삼았다는 소나무로, 나이는 정확치 않지만 반송처럼 사방으로 가지를 뻗으며 우람하게 자라고 있는 모습이 너무나도 멋진 명품 소나무로, 천세송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천년송 외에도 석파정에는 감나무, 단풍나무, 모과나무 그리고 멋진 소나무들도 많습니다.






2. 소격동 종친부 소나무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宗親府 敬近堂과 玉牒堂) - 보물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은 조선시대 관공서 중 최고 등급인 정1품아문의 하나인 종친부(宗親府)의 중심건물로, 관아건축이면서 궁궐건축의 격식을 갖춘 건물이다. 흥선대원군 집권 당시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종친부의 권한과 조직을 확대하면서 종친부 건물이 대규모로 늘어날 당시 중건(1866)되었다.
경근당(敬近堂)은 대군, 왕자군 등 종친들의 대청으로 종친부의 중심 건물로서, 좌우로 각각 옥첩당(玉牒堂)과 이승당 (貳丞堂)을 두고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이승당은 1950년대 이후 사라졌다.
경근당은 정면 7칸, 측면 4칸으로 된 이익공의 공포인 팔작지붕 건물이며, 정면에는 넓은 월대를 두었고, 기단과 초석은 모두 다듬은 돌을 이용해서 만들었다. 옥첩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된 초익공의 팔작지붕으로, 건축물의 규모나 공포의 형식 모두 경근당보다 격을 낮추어 위계를 두었다.
경근당과 옥첩당은 기단과 초석의 가공 방식, 기둥과 공포의 조형, 벽체에 장화반과 운공 사용, 가구의 구성방식 등에 있어서 경복궁의 다른 전각들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경근당과 옥첩당은 고종대 302칸에 달했던 종친부 건축군의 중심 전각으로서 19세기 중앙 관아 건축의 배치와 구성, 연결방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사례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또한 1981년 경근당과 옥첩당이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가 2013년 다시 원위치로 이전되었지만, 당초의 모습을 최대한 유지하며 많은 부재를 재사용했다는 점이 건축물의 진정성을 입증하는 충분한 근거가 되었다.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은 조선후기 종친부 중건 당시 최고급 건축형식과 기술력이 발휘된 건물로서 역사적, 건축적, 학술적 가치를 충실히 갖추고 있어 국가지정유산(보물)으로 지정하여 보존할 만 하다. [국가유산포털]
소격동 종친부 소나무


- 소재지: 서울 종로구 소격동 185
- 수령: 지정일 기준 100년
- 지정(등록): 2007.11.29 보호수 서1-31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과 종친부 경근당 북쪽에 자리하고 있는 이 소나무는요.


조선시대 종친의 부정과 비리를 감시하던 종친부 집터의 우물 자리에 있었던 소나무로, 수령은 120살 정도이며 키도 5m 정도로 크지 않은 젊은 소나무이지만요.^^


수형과 가지 뻗음이 멋진 아름다운 소나무라 하겠습니다.
3. 사직동 사직단 향나무

사직단(社稷壇) - 사적


종묘와 함께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조선을 세운 태조가 한양에 수도를 정하고, 궁궐과 종묘를 지을 때 함께 만들었다. 토지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사단은 동쪽에,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직단은 서쪽에 배치하였으며, 신좌는 각각 북쪽에 모셨다.
제사는 2월과 8월 그리고 동지와 섣달 그믐에 지냈다.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나 가뭄에 비를 기원하는 기우제 그리고 풍년을 비는 기곡제들을 이 곳에서 지냈다.
1902년 사직단과 사직단의 임무를 맡는 사직서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고, 일본인들은 우리나라의 사직을 끊고 우리 민족을 업신여기기 위하여 사직단의 격을 낮추고 공원으로 삼았다. 1940년 정식으로 공원이 된 사직공원이 옛 사직단의 자리이다. [국가유산포털]
사직단 향나무는 사직동 사직단 앞 도로가에 있는데요.


사직단에 가셨으니 정문 앞 200살이 넘은 황칠나무와..


사직단 안쪽의 회화나무와 느티나무도 함께 둘러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사직동 사직단 향나무


- 소재지: 종로구 사직동 1-28
- 수령: 지정일 기준 230년
- 지정번호 : 서1-30
- 지정일 : 2000.12.20

지팡이를 하나 짚고는 있지만요. 보는 방향에 따라, 가지를 셋으로 나눠 뻗은 모습이 살짝 귀여워 보이기도 합니다.^^
덤으로 하나만 더..^^
종로구 옆 중구 정동에 있는 배제학당역사박물관 향나무도 소개해 드리면요.
4. 배제학당역사박물관 향나무

배재학당동관(培材學堂 東館) - 서울특별시 기념물

옛 배재학당의 교실로 사용되었던 건물로서, 앞쪽의 현관과 양옆 출입구의 돌구조 현관이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건물의 구조와 모습, 건물에 사용된 벽돌 구조가 매우 우수하다.
1916년에 건립된 이 건물은 처음 지어질 때의 모습을 잃지 않고 있으며, 건물의 형태도 매우 우수하여 한국근대건축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국가유산포털]
참고로 배재학당동관은 현재 배제학당역사박물관으로 운영 중이며, 매주 일요일, 월요일, 법정공휴일과 개교기념일(6월8일)은 휴관이라고 합니다.
배제학당역사박물관 향나무


- 소재지: 중구 정동 34-5
- 수령: 지정일 기준 525년
- 지정번호: 서2-2
- 지정일 : 1972.10.12


이 향나무는 우리가 사랑하는 김소월 시인과 1960년대 평화봉사단원으로 한국에 왔다가 우연히 발견한 김소월의 시집을 읽고서 ‘김소월 연구가’가 됐다는 데이비드 매캔 하버드대 교수가 사랑하고 아꼈던 나무라고 하는데요.


훤칠한 키와 600년 가까이 살아온 포스가 느껴지는 향나무였습니다.^&^
'꽃 나무 휴게실 > 보호수 천연기념물 나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고려궁지와 주변의 보호수 노거수 나무들 (1) | 2025.02.07 |
---|---|
강화 전등사의 보호수(노거수) 나무들 (1) | 2025.02.03 |
강화도의 보호수(노거수) 소나무들 (1) | 2025.01.30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보호수 소나무들 (0) | 2025.01.28 |
강원도 삼척 죽서루의 보호수 회화나무와 개잎갈나무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