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전등사(江華 傳燈寺 )

전등사는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선조 38년(1605)과 광해군 6년(1614)에 큰 불이 일어나 절이 모두 타버려, 그 이듬해 다시 짓기 시작하여 광해군 13년(1621)에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고 한다.
고구려 소수림왕 11년인 381년에 진종사(眞宗寺)로 창건되었으며, 고려 충렬왕 8년인 1282년에 전등사(傳燈寺)로 이름을 바꿔 불렀다고 전합니다. [국가유산포털]

전등사는 입장료 무료, 주차료는 3,000원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알려진 전등사는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삼랑성 안에 위치하고 있고요.
강화 삼랑성(江華 三郞城)


정족산성이라고도 하며 단군의 세 아들이 성을 쌓았다는 전설이 있어 삼랑성이라 부른다.
이 성이 만들어진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고려가 1259년 삼랑성 안에 궁궐을 만들었다고 하니 그 전에 이미 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성곽이 쌓여져 있는 모습을 보면 보은의 삼년산성이나 경주의 명활산성처럼 삼국시대 성의 구조를 찾을 수 있으므로,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성으로 추측된다.
고려 때 보수공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영조 15년(1739)에 성을 다시 쌓으면서 남문에 문루를 만들고 ‘종해루’라고 하였다. 조선 현종 1년(1660) 마니산의 사고에 보관되어 있던 『조선왕조실록』을 성 안에 있는 정족산사고로 옮기고, 왕실의 족보를 보관하는 선원보각을 함께 지었다. 그러나 지금은 둘 다 없어지고 전등사만 남아있다.
이곳은 고종 3년(1866)의 병인양요 때 동문과 남문으로 공격을 해오던 160여 명의 프랑스군을 무찌른 곳으로도 유명하다. [국가유산포털]
전등사는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약사전 등 보물 5개를 포함한 많은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는 사찰입니다.
강화 전등사 대웅전(江華 傳燈寺 大雄殿)

석가여래삼존불을 모시고 있는 대웅전은 광해군 13년(1621)에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장식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네 모서리기둥 윗부분에는 사람 모습을 조각해 놓았는데 이것은 공사를 맡았던 목수의 재물을 가로챈 주모의 모습이라는 전설이 전해져 오는데, 재물을 잃은 목수가 주모의 나쁜 짓을 경고하고 죄를 씻게 하기 위해 발가벗은 모습을 조각하여 추녀를 받치게 하였다는 것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3곳의 처마 밑에서는 두손으로 처마를 받치며 벌을 받고 있는 모양새인데 비해, 한 귀퉁이의 것은 한 손으로만 처마를 받치고 있다는 점이다. 마치 벌을 받으면서도 꾀를 부리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우리 선조들의 재치와 익살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당시의 능숙한 조각 솜씨를 엿볼 수 있고, 조선 중기 이후의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국가유산포털]




또한 전등사 사찰 안에는 느티나무,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팥배나무 등 많은 보호수들도 자리하고 있음에 전등사를 돌아 보며, [큰나무]란 안내판이 서 있는 보호수들도 한 번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

* 동문~ (느티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2) 죽림다원~ 대조루 (단풍나무)~ 대웅전 (느티나무) 명부전~ 삼성각~ 정족산사고지~ 정족산성진지 (팥배나무)~ 남문
1. 전등사 동문 안 느티나무


-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
- 수령: 지정일 기준 약350년
- 지정(등록): 2016년 보호수 강화-180

2. 전등사 동문 안 소나무


-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
- 수령: 지정일 기준 약300년
- 지정(등록): 2016년 보호수 강화-183



일제 강점기 태평양 전쟁 막바지에 대체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소나무 송진까지도 수탈해 갔던 아픈 상처를 가지고 있는 소나무입니다.
3. 전등사 느티나무


-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
- 수령: 지정일 기준 약400년
- 지정(등록): 2016년 보호수 강화-181

"조선 광해군 6년(1614)에 큰 불이 일어나 절이 모두 타버려, 그 이듬해 다시 짓기 시작하여 광해군 13년(1621)에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고 한다."는 기록에 따라, 수령이 약400년인 전등사 느티나무 두 그루는(강화-181, 강화-4-9-30) 아마도 1615년 전등사 재건 당시 풍치목으로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4. 전등사 은행나무1 노승나무


-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
- 수령: 지정일 기준 약700년
- 지정(등록): 2001년 보호수 강화-4-9-16



5. 전등사 은행나무2 동자승나무


-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
- 수령: 지정일 기준 약350년
- 지정(등록): 2001년 보호수 강화-4-9-67



재미난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전등사 터줏대감 은행나무 두 그루는 죽림다원 동쪽에 서로 마주 보고 서 있었는데요.
전설 때문인지? 아니면 두 그루 모두 수나무인지? 열매는 맺지 않는듯 했고요.
올 가을에 곱게 물든 은행나무 단풍을 보러, 꼭 다시와 봐야 할것 같습니다.^&^

6. 전등사 대조루 동편 단풍나무


-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
- 수령: 지정일 기준 약280년
- 지정(등록): 2019.10.29 보호수 강화-4-9-74



1749년 대조루 재건 시 동쪽에 심은 것으로 추정되는 300살 단풍나무로, 나이만큼이나 큰 덩치를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7. 전등사 느티나무



-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
- 수령: 지정일 기준 약400년
- 지정(등록): 1997년 보호수 강화-4-9-30

전등사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는, 1615년 전등사 재건 당시 풍치목으로 심은 것으로 추정되는 400살 느티나무입니다.
느티나무 서쪽 종각 속에 있는, 일제가 중국에서 수탈해 온 쇠로 만든 철종도 전등사가 가지고 있는 보물 중 하나 입니다.


전등사 철종(傳燈寺 鐵鍾)
일제시대 말기 금속류의 강제수탈 과정에서 중국에서 건너온 철종으로서 광복 후 부평군기창에서 발견하여 전등사로 옮겨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다.
형태와 조각수법에서 중국종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춘 높이 1.64m, 입지름 1m의 종으로 한국의 종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종꼭대기에는 두마리의 용이 서로 등지고 웅크려서 종의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돕는 음통은 없이 천판(天板) 중앙에 구멍을 뚫었다. 몸통 위 부분에는 8괘를 돌려가며 배치하고, 종의 몸체 중간을 가로지른 3줄의 띠로 종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8개의 정사각형 곽을 돌렸다. 이 정사각형 곽에는 명문을 새겼는데, 명문을 통해 이 종이 중국 하남성 백암산 숭명사의 종이라는 것과 북송 철종 4년, 곧 고려 숙종 2년(1097)에 주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철로 만든 종이지만 종소리가 청아하며 중국 북송 시대에 만들어진 명문을 지니고 있어 중국종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 문화유산이다. [국가유산포털]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했었다는 정족산사고지






8. 전등사 정족산성진지 팥배나무


-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
- 수령: 지정일 기준 300년 이상
- 지정(등록): 2019.10.29 보호수 강화-4-9-75



팥배나무로는 보기 드물게 300년을 넘게 튼실히 살아가고 있는 장수목이었고요.
정족산성진지에서 내려다 본 전등사 풍광이 너무나도 평안해 보이고 아름다웠습니다.



'꽃 나무 휴게실 > 보호수 천연기념물 나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종로구의 보호수(노거수) 소나무와 향나무 (1) | 2025.02.23 |
---|---|
강화도 고려궁지와 주변의 보호수 노거수 나무들 (1) | 2025.02.07 |
강화도의 보호수(노거수) 소나무들 (1) | 2025.01.30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보호수 소나무들 (0) | 2025.01.28 |
강원도 삼척 죽서루의 보호수 회화나무와 개잎갈나무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