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봄, 공원이나 아파트단지의 꽃나무들이 우르르~ 앞다투어 한꺼번에 꽃을 피우는 듯 보이지만요.
식물들은 낮의 길이를 피토크롬(Phytochrome)이라는 빛 감지 색소로 감지하면서, 나무들 마다 가장 좋아하는 시기에 꽃을 피우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때문에 우리가 달력이나 뉴스를 통해 자주 듣게되는 24절기(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1년을 24등분하여 계절을 나눈 것)를 기준으로 하면, 꽃나무들의 꽃 피는 시기와 순서를 예측 할 수가 있겠고요.^^
따라서 꽃대장이 서울 기준, 매월 두 번씩 찾아 오는 절기(節氣)를 기준으로 [봄 꽃나무들의 꽃 피는 순서]를 정리해 보습니다. (당연히 주위 환경과 기상 변화 등에 따라, 어느 정도 오차가 있음을 감안해 주시기면 감사허겠습니다.^^)
1. 24절기의 시작이자, 봄 절기로도 첫 번째 절기인 입춘(立春)은요.
봄이 시작된다는 이름과는 달리 겨울의 끝자락이라 할 수 있는 2월 4~5일 정도임에, 남도에서도 봄꽃 보기는 어렵겠지만요.
동백나무의 꽃 동백꽃이 이름처럼 늦겨울과 봄 사이의 꽃 갈증을 조금이나마 풀어 준다 하겠습니다.^^


2. 눈이 비가 되어 내린다는 2월 18~19일 우수(雨水)와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3월 5~6일 경칩(驚蟄)을 지나야, 부지런한 꽃나무들이 꽃망울을 터트리기 시작하는데요.
이때 꽃을 피우는 나무로는 꽃 같지 않은 꽃을 피우는 갯버들, 회양목을 시작으로..^^


영춘화, 생강나무, 산수유, 매화, 히어리, 미선나무, 만리화 등이 있답니다.







3. 본격적으로 봄이 시작된다 할 수 있는 3월 20~21일 춘분(春分)은요. 태양 황경이 0°가 되어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인데요.
이쯤되면 앞서거니 뒷서거니 대표적인 봄꽃들이 개화를 시작하고요.
이때 피는 꽃으로는 개나리, 진달래, 목련(백목련), 벚꽃(왕벚나무) 등이 있답니다.




4. 날씨가 더 없이 좋다는 4월 4~5일 청명(淸明)을 지나면서는 화사한 봄꽃들이 앞다투어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데요.
이때 피는 꽃들은요.
자주목련, 자목련, 앵도나무, 살구나무, 라일락(서양수수꽃다리), 복사꽃(복숭아나무), 박태기나무, 조팝나무, 명자꽃 등이 있답니다.









5. 4월 20~21일 봄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봄의 마지막 절기인 곡우(穀雨)는요. 태양 황경이 30도가 되는 때인데요.
다음의 여름 첫 절기인 입하(立夏)까지는 마지막 봄꽃들이 피는 시기라 하겠고요.
이때 피는 꽃으로는 황매화, 죽단화, 겹벚꽃(만첩개벚), 산철쭉, 철쭉, 영산홍, 모과나무 등이 있지만요.







요즘은 온난화 때문일까? 입하(立夏) 전이라도, 입하에 핀다는 '이팝나무'나 5월의 꽃 '모란' 까지도 만날 수가 있답니다.


[봄 꽃나무 개화 순서 정리 ]
봄이 시작된다는 2월 4~5일 입춘(立春)
동백꽃(동백나무)
눈이 비가 되어 내린다는 2월 18~19일 우수(雨水),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3월 5~6일 경칩(驚蟄)
갯버들 회양목 생강나무 산수유 매화(매실나무) 영춘화 히어리 미선나무 만리화
본격적으로 봄이 시작된다는 3월 20~21일 춘분(春分)
개나리 진달래 목련(백목련) 벚꽃(왕벚나무)
날씨가 더 없이 좋다는 4월 4~5일 청명(淸明)
자주목련 자목련 앵도나무 살구나무 라일락(서양수수꽃다리) 복사꽃(복숭아나무) 박태기나무 조팝나무 명자꽃
봄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4월 20~21일 곡우(穀雨)
황매화 죽단화 겹벚꽃(만첩개벚) 산철쭉 철쭉 영산홍 모과나무
여름이 시작된다는 5월 5~6일 입하(立夏)
이팝나무 모란
.
'꽃나무 공부방 > 꽃나무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공원 깃대종 소개 및 국립공원별 깃대종(식물) 학명 영어이름 사진 (0) | 2024.04.17 |
---|---|
먹거리 곡식 이름이 들어간 나무들 (0) | 2023.04.08 |
열매가 붉게 익는 이유와 붉은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들 (0) | 2023.03.06 |
복수초의 개화과정 타가수분 전략 (0) | 2023.02.26 |
국화꽃들의 특징과 지혜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