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아침꽃인사는 아주 오래전부터 달리아, 백일홍, 맨드라미 등과 함께 시골집 앞마당의 화단 꽃으로 사랑을 받아 온 꽃으로,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는 우리의 국화(菊花) '과꽃'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kMdKe/btrzz58Y6ke/beQNeFKzu1ynBJ4O5SI7c1/img.jpg)
올해도 과꽃이 피었습니다.
꽃밭 가득 예쁘게 피었습니다.
누나는 과꽃을 좋아했지요.
꽃이 피면 꽃밭에서 아주 살았죠.
이 [과꽃]이라는 동요의 노랫말에서처럼 과꽃은 예쁜 누나가 좋아라했다는 꽃이지만요. '과꽃'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누나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고요.^^
![](https://blog.kakaocdn.net/dn/pK3ne/btsp7qUQilq/hoZcacf0j5ZMJZn1m4fM0K/img.jpg)
며느리의 슬픈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며느리밥풀꽃'이나, 쑥 캐는 불쟁이(대장장이) 딸의 사랑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는 '쑥부쟁이'처럼, 백두산 근처에 살았다는 어여쁜 과부의 전설 때문에 과부꽃 '과꽃'이라는 이름표를 달게 되었다 하는데요.
요즘 같은 세상에는 멍멍이도 웃고 갈 이야기라 생각 할 수도 있겠지만요. 혹 관심 있는 분들은 한 번 찾아들 보시고요.^^
https://mjmhpark.tistory.com/m/268
과꽃 전설 꽃말
올해도 과꽃이 피었습니다. 꽃밭 가득 예쁘게 피었습니다. 누나는 과꽃을 좋아했지요. 꽃이 피면 꽃밭에서 아주 살았죠. 과꽃 하며 떠오르는 동요 '과꽃'의 노랫말처럼, 과꽃은 누나가 좋아라 했
mjmhpark.tistory.com
![](https://blog.kakaocdn.net/dn/dz46sw/btrzAVdZNWY/wSukeWL9mTDlfRH63ilZ8k/img.jpg)
그런데 말입니다.^^
우리의 국화(菊花) 과꽃의 영어이름이 왜 Korean Aster가 아니고 China Aster일까요?
과꽃은 한반도 북쪽 지역에서부터 만주 동남쪽까지 자생하고 있음에, 우리민족이 만주벌판을 지켜내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 꽃이라 하겠는데요.
그래도 난 과꽃을 Korean Aster라 부르겠다 싶은 분들은 그렇게 하셔도 좋겠지만요.^^
Korean Aster란 영어 이름표는 우리가 봄철에 나물로 즐겨 먹는 '참취'가 이미 달고 있음에, 과꽃을 Korean Aster라 부르시면 '참취'가 서운해 할 것 같고요.^^
![](https://blog.kakaocdn.net/dn/pjsWp/btrzAVdZN3b/TY9BwkZF6cERJvsId1Wft0/img.jpg)
참취와 달리 원예종으로도 사랑 받고 있는 영어이름 Korean Daisy(학명 Aster koraiensis)란 아이가 있다 전해 드린 적도 있었는데요.
기억들 나실까나요?^^
한반도 남쪽에서만 자생하고 있는 특산종 '벌개미취'가 바로 그 주인공 되시겠고요. 그 미모는 물론 성격도 좋아서 전국 어디에서나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음에 더욱더 사랑스럽답니다.^^
* 참고로 국립수목원에서 발간한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에는 참취가 Edible aster, 벌개미취가 Korean aster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우쭈쭈~ 또 옆길로 샜군요.ㅠㅠ
https://mjmhpark.tistory.com/m/479
원예종 꽃이야기 14 : 벌개미취, 코리안데이지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데이지 꽃 소개 마지막 영광의 순서로 어제 소개해 드렸던 청화국이나 사계국화처럼 푸른색 꽃을 피우는 코리안데이지(Korean Daisy) '벌개미취'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벌
mjmhpark.tistory.com
다시 과꽃 이야기로 돌아와서, 한반도 자생 과꽃은 더위에 약한 아이인지라 한반도 남쪽에서는 터를 좀 가리지만요. 사실 우리가 요즘 예뻐라 하며 화단에 심는 과꽃들은 대부분 개량 된 원예종으로, 1800년대 초 프랑스 신부에 의해 유럽으로 건너간 이후 여러 차례 개량이 되면서 여차저차 저차여차 세상을 떠돌아다니다가, 다시금 우리 고향산천으로 돌아 온 꽃인데요.^^
![](https://blog.kakaocdn.net/dn/cL4198/btrL1yP7gDV/4J7cvBRmcF9OiNQpmzcOV0/img.jpg)
그런 거시기한 과거 때문일까? 은근 정이 더 가는 아이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IFue/btrzIsgzu4y/Gp3oGWQ70apNKkpYYo5Vek/img.jpg)
과꽃의 꽃말은 과꽃의 전설 때문일까? '믿음직한 사랑'이라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UVa5/btrzz4Ww1lj/jbh3QJl4kWtwwkhEagopTK/img.jpg)
위쪽 컷은 China Aster '과꽃'이며, 아래 컷은 Korean Aster '참취'의 꽃과 Korean Daisy '벌개미취'의 꽃 사진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AYBS4/btrzGMzPIj2/XZT9HB3xufbkqyQ6DLItj1/img.jpg)
과꽃(Callistephus chinensis)은 한반도 북쪽지역과 만주동남부 원산의 국화과에 속하는 키 40~80cm 정도의 한해살이풀로, 붉은 갈색의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달걀형으로 거친 톱니가 있으며, 7∼9월에 가지 끝에 1개씩 피는 두상꽃차례의 꽃은 지름이 6~8cm 정도이고, 중심부의 노란색 통꽃들과 가장자리 청보라색 혀꽃들이 적절히 어우러져 화려하진 않지만 정감이 느껴지며, 요즘에는 꽃색도 빨간색, 분홍색, 자주색 등으로 다양하고 혀꽃이 여러 겹인 겹꽃들도 만나실 수 있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dis6c/btrzGK9Q9Fs/RnkTuIOoCUWODgk0IYydkk/img.jpg)
.
'꽃나무 이야기방 > 원예종 꽃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예종 꽃이야기 27 : 백묘국, 설국, 은쑥, 구와쑥 (0) | 2022.04.20 |
---|---|
원예종 꽃이야기 26 : 시네라리아 (1) | 2022.04.19 |
원예종 꽃이야기 24 : 센토레아, 수레국화 (1) | 2022.04.16 |
원예종 꽃이야기 23 : 달리아, 다알리아 (0) | 2022.04.15 |
원예종 꽃이야기 22 : 백일홍 (2) | 2022.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