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만큼 땅만큼 행복하게~~
꽃대장 하늘땅의 꽃나무 이야기

꽃 나무 휴게실/보호수 천연기념물 나무들

서울시 보호수 나무들 2 - 종로구(팔판동, 소격동, 화동, 가회동, 계동, 와룡동)

꽃대장 하늘땅 2025. 3. 11. 08:14
반응형

[서울시 보호수 소개] 두 번째 순서로 청와대와 경복궁 동쪽인 종로구 팔판동, 소격동, 화동, 가회동, 계동, 와룡동에 자리하고 있는 보호수들을 소개해 드릴까 하는데요.

앞서 소개해 드렸던 청와대 서쪽 보호수 투어와 이어 걷기를 하셔도 좋을 코스로, 어렵지 않게 보호수 10그루를 만나 보실 수가 있겠습니다.^&^

추천 코스 : 청와대 춘추관~ 팔판동 느티나무~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 종친부 경근당~ 정독도서관~ 중앙고등학교~ 고희동미술관~ 창덕궁 매표소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2023년말 보호수 지정현황] 자료에는 팔판동 느티나무의 소재지가 '팔판동 2'번지로 적혀 있어서,  삼청어린이집 뒤 국무총리공관 동쪽을 찾아 헤매다가 결국은 포기를 했었는데요.ㅠㅠ

나중에 알고보니 '팔판동 2'번지가 아닌, 청와대로 동쪽 '팔판동 126'번지 앞 길가에 있음을 알게되어..

팔판동 느티나무는 카카오맵 로드뷰 사진으로 대신합니다.^&^

1. 팔판동 느티나무
소재지 : 종로구 팔판동 126번지 앞
지정번호 : 서1-29
지정일 : 1972.10.12
수령 : 지정일 기준 225년


또한 산림청 보호수 자료에 '삼청동 25-1'번지 국군서울지구병원으로 위치가 표기되어 있었던 비술나무 삼형제(3그루)도 삼청동이 아닌 '삼청로 30'번지,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 북서쪽 옛 종친부 터에 자리하고 있었는데요.ㅠㅠ

어찌 보호수를 총괄 관리하는 산림청이 보호수 현황 하나도 제대로 관리를 못하고 있는 건지? 할 말이 없었고요.

그나마 서울시의 보호수 자료가 산림청 자료보다는 좀 더 정확했습니다.


소격동의 비술나무(3그루)와 소나무 위치


2~4.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종친부터) 비술나무 3그루
소재지 : 종로구 소격동 165(삼청로 30)
지정번호 : 서1-23, 서-124, 서1-25
지정일 : 1996. 8.16
수령 : 지정일 기준 150년


아는만큼 보이는 걸까요? 이곳을 여러 번 오갔고, 소격동 소나무도 몇 번이나 찾아 가 봤지만요.


경복궁 동쪽 삼청로 건너편의 비술나무 삼형제 어르신들을 처음인듯 접견하고 인사를 드렸는데요.^&^

다른 노거수 보호수들이 홀로 여생을 보내고 있다면, 이 비술나무들은 서로서로 의지를 하면서 평안히 여생을 즐기고 있는 듯 보였고요.

나이는 모두 같아도, 지정번호는 가운데 키가 제일로 큰 비술나무가 23번으로 제일 빨랐고, 다음 24번과 25번도 키 순으로 번호를 부여한 듯 보였습니다.^^


다음으로 비술나무 삼형제 동쪽으로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 돌담길을 통과, 종친부 경근당 북쪽 조선시대 종친부 우물터 옆에 홀로 서 있는 소나무는요.

종친부 경근당

나이는 적어도 멋진 수형을 자랑하고 있으며, 종로구에서는 2007년 마지막으로 지정된 '서1-31' 막내 보호수입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944

서울 종로구의 보호수(노거수) 소나무와 향나무

고도(古都) 서울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들(11개 18그루) 외에도요.https://mjmhpark.tistory.com/m/932 서울의 천연기념물 나무들국가가 법률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자연물을 천연기념물(天然

mjmhpark.tistory.com


5. 소격동 종친부 경근당 소나무

소재지 : 종로구 소격동 165(삼청동 30)
지정번호 : 서1-31
지정일 : 2007.11.29
수령 : 지정일 기준 100년


다음으로 소격동 소나무에서 가까운 정독도서관 입구와 도서관 앞마당 동쪽에 자리하고 있는 회화나무를 1타2피로 만나 봅니다.^&^

정독도서관 회화나무 2그루 위치


6. 화동 정독도서관 입구 회화나무
소재지 : 종로구 화동 138-32
지정번호 : 서1-20
지정일 : 1986.11.22
수령 : 지정일 기준 210년

도로변 번잡한 삶이 힘겨운 것인지? 겨울을 지나 봄으로 가는 계절에도 많은 열매를 매달고 있었고요.

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7. 화동 정독도서관 회화나무

소재지 : 종로구 화동 2
지정번호 : 서1-7
지정일 : 2000.06.05
수령 : 지정일 기준 300년

정독도서관 동쪽에 위치한 회화나무로 320살이 넘는 나이 때문일까? 삼발이 형태의 지지대를 두르고 있었는데요.

몸통을 조이고 있는 듯 조금은 불편해 보였고요.


또한 정독도서관 앞마당에는 그늘 좋은 등나무 쉼 벤치가 여럿 있고요.^^

[종로구 아름다운 나무]로 선정된 왕벚나무도 있으니, 봄 여름 언제 찾아와도 좋을 곳입니다.^&^



다음으로 가회동 느티나무와 계동 은행나무를 만나기 위해 북촌한옥마을을 지나 중앙고등학교로 이동을 합니다.

가회동 느티나무와 중앙고등학교 은행나무 위치


8. 가회동 중앙고등학교 동쪽 느티나무(개인)
소재지 : 종로구 가회동 5
지정번호 : 서1-21
지정일 : 1988.09.12
수령 : 지정일 기준 310년

가회동 느티나무는 개인 집 마당에 자리하고 있음에, 나무 살펴 보기가 살짝 거시기 했는데요.^^

보호수와 함께 사시는 주인분이 통 크게 대문을 조금 낮춰 주시거나, 문살이 있는 대문으로 바꿔주시면 어떨까도 생각해 봤습니다. ^^



9. 계동 중앙고등학교 은행나무

소재지 : 종로구 계동 1
지정번호 : 서1-14
지정일 : 1988.06.08
수령 : 지정일 기준 510년 수나무

550살 덩치 큰 중앙고등학교 은행나무는요. 학교 정문과 경비실 사이 좁은 공간에 자리를 잡고 있었는데요.

은행나무 위로도 많은 전선들이 오가고 있어서, 아래 위 설상가상이다 싶었습니다.ㅠㅠ

중앙고등학교



다음으로 조금 먼 길을 걸어 창덕궁으로 걸어 가야하는데요.

중간에 [종로구립 고희동미술관]에 들러서 앞마당의 은행나무와 목련을 만나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 춘곡 고희동의 가옥 - 등록문화재


종로구립 고희동미술관은 등록문화재 제84호로(2004년에 등록) 고희동 화백이 일본 유학 후 돌아와 직접 설계하고 41년 간 거주한 근대식 한옥입니다. 2008년 종로구에서 부지를 매입하고 복원공사를 거쳐 2012년 11월에 처음 개관하였으며, 2019년부터 종로문화재단이 위탁 운영을 맡아 고희동 화백을 알리는 문화향유 공간으로 가꾸어 나가고 있습니다.

고희동 가옥은 전통 한옥과 일본 가옥의 절충을 시도했으며 지상 1층의 안채와 사랑채로 나뉘어 있는데, 사랑방 옆에 그림을 그리는 화실을 따로 둔 것과 채와 채 사이를 오가기 편하도록 복도를 이어낸 점이 특징입니다.

고희동이 학생들에게 서양화를 가르치고 당대 문화예술인들과 활발히 교류한 한국근대미술의 산실이자 근대 개량한옥의 건축 양상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2004년 등록문화재 제84호로 등록됐습니다. [종로문화재단]


나무 줄기 여기 저기가 잘려나가서, 힘겹게 새로운 가지를 다시 올리고 있는 은행나무

봄이면 많은 꽃들을 피워 화사한 봄맞이를 할 것 같은 목련


이제는 창덕귱 서쪽 담장길을 따라 돈화문으로 가야 하는데요.

중간에 [노무현시민센터]에 들려서 커피 한 잔 하고 가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돈화문 서쪽, 창덕궁 매표소 앞 은행나무를 만나 봅니다.

10. 와룡동 창덕궁 돈화문 서쪽 은행나무
소재지 : 종로구 와룡동 4-1
지정번호 : 서1-8
지정일 : 1972.10.12
수령 : 지정일 기준 425년

500살에 가까운 나이였지만, 덩치는 조금 작은 편이었는데요.^^

주변에 다른 나무들이 없는 곳이라 햇빛 나눔 경쟁 없이 튼실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고요.

나무의 아랫부분 줄기가 꽈배기처럼 살짝 틀려 올라간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창덕궁 담장 너머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창덕궁 회화나무들도 보였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932

서울의 천연기념물 나무들

국가가 법률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자연물을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이라 하는데요.참고로 2021년11월19일부터는 문화재청이 국보‧보물‧사적‧천연기념물 등 국가지정‧국가등록문화재

mjmhpark.tistory.com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