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삼척 여행~ 관동팔경 중 하나인 삼척 죽서루를 둘러 보면서요.



역시나 꽃대장의 나무 사랑..^^ 죽서루에 자리하고 있는 보호수들도 함께 살펴 보는 행복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선 죽서루(竹西樓)라는 살짝 재미진 이름은요. 대밭 서쪽에 자리한 누각이 아니고요.^^ 누각 동쪽으로 '죽장사(竹欌寺)'라는 절과 이름난 기생 '죽죽선녀의 집'이 있어 ‘죽서루’라 하였다고 하고요.^&^

죽서루라는 이름과 잘 어울린다 싶은 검은 대나무 오죽들도 여기저기 심어져 있었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384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60 - 제8편 태백(泰伯) 17 - 오죽, 죽순대, 왕대, 솜대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8편 태백(泰伯)의 열일곱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學如不及하고 猶恐失之니라”(학여불급 유공실지): “배울 때는 도달 할 수 없
mjmhpark.tistory.com
삼척 죽서루(三陟 竹西樓)


소재지: 강원 삼척시 죽서루길 44 (성내동 9-3)
시대: 조선시대 초기
지정(등록): 1963.01.21 보물, 2023.12.28 국보 승격

죽서루 주변 주차료와 죽서루 입장료는 모두 무료입니다.^^

삼척 죽서루는 고려 명종(1171∼1197)대에 활동하였던 김극기(金克己, 1148∼1209)가 죽서루의 풍경을 읊은 시 등을 통해 적어도 12C에는 창건되었으며, 처음에는 ‘서루(西樓)’로 불리다가 14C후반에 들어서 ‘죽서루(竹西樓)’라 불리기 시작했다. 또 김수온(金守溫, 1410∼1481)의 『죽서루단청기(竹西樓丹靑記)』(1472), *허목(許穆, 1595∼1682)의 『죽서루기(竹西樓記)』(1662) 등에서 ‘1403년 부사 김효손(金孝孫, 1373∼1429)이 옛터에 새로 창건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고려시대에 창건되었다가 조선전기에 재건된 이후 여러 차례 보수, 증축되었으나 관련 기록이 잘 남아있으며, 조선후기 증축된 이후 그 본래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다.
* 허목은 ‘죽서루(竹西樓)라는 이름은 동쪽에 죽장사(竹欌寺)라는 절이 있어서 그 서편에 위치한 누각이다’라는 뜻으로 붙었다고 소개
삼척 죽서루는 1403년 정면 5칸(측면 2칸)의 규모로 중창된 누정이었으나, 1530년 남쪽 한 칸(측면 3칸)이 증축되었고, 1788년 북쪽 한 칸(측면 2칸)이 증축되면서 현재와 같은 팔작지붕 형태가 되었다. 이처럼 조선 초기의 중앙 5칸과 조선 중기 이후 확장된 좌ㆍ우측 1칸은 기둥 배열, 가구의 짜임, 천장과 바닥면의 처리, 공포 및 세부 의장 등에서 각 시기별 건축적 특징을 달리 보여주고 있다.
삼척 죽서루의 기둥은 절반 이상이 자연 암반 위에 올라서 있다. 22개의 기둥 중 자연 암반 위에 세워진 기둥이 13개이고, 9개는 자연석 초석을 두고 받쳤다. 증축한 남쪽 한 칸은 바닥에 마루를 깔지 않고, 자연의 암반을 그대로 둔 채 출입을 돕기 위해 가운데 한 칸 부분만 고르게 다듬은 돌을 깔았다. 내부는 벽과 창호가 없는 개방된 평면으로 천장은 서까래가 노출되어 보이는 연등천장과 우물정자 모양으로 마감된 우물천장으로 설치되어 있다. 마루는 우물정자 모양의 귀틀(나무틀)에 짧은 판재를 끼워서 바닥을 구성하는 우물마루로 되어 있는데,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난간을 설치해 놓았다.
삼척 죽서루에는 조선 숙종(肅宗)과 정조(正祖)의 어제시(御製詩)를 비롯하여 유명한 시인과 명신들의 한시가 새겨진 현판이 많았으나, 1959년 태풍 사라의 영향으로 많이 유실되고 현재는 28점이 남아 있다. 이외에도 죽서루의 절경을 표현한 정철의『관동별곡(關東別曲)』등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시인, 묵객 등 다양한 계층이 죽서루를 소재로 수많은 시문, 가사 등을 남겼다. 죽서루의 정면에 걸린 '죽서루(竹西樓)'와 '관동제일루(關東第一樓)' 현판은 1710년(숙종 36)에 삼척 부사로 왔던 이성조(李聖肇)의 글씨이다. 삼척 죽서루를 표현한 그림도 많이 남아있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겸재 정선(鄭敾, 1676∼1759)의 『관동명승첩(關東名勝帖)』에 있는 죽서루의 그림이다. 이외에도 김홍도(金弘道, 1745∼), 강세황(姜世晃, 1713∼1791) 등도 그림을 남겼다.
삼척 죽서루는 각종 기록을 통해 중창과 후첨된 건립연대가 명확하여 역사적 가치가 크고, 조선 초기와 중기 이후의 건축 원형을 잘 유지하면서 건축적 변화를 살펴볼 수 있어 건축사적으로 중요하며, 수많은 명사들의 시문과 그림이 많이 남아 있어 학술적 가치 또한 크다. 더불어 오십천과 어우러진 죽서루의 경관이 빼어난 점 등을 고려할 때 국보(國寶)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국가유산포털]
용문(龍門)을 통과하면서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는 죽서루의 명물 용문바위.^&^




용문 바위 문과 관련된 전설이 있다. 신라문무왕이 사후에 호국용이 되어서 아들 신문왕이 아버지를 위하여 지은 감은사로 왕래할 때 용화리의 용소에서 나와 감은사로 왕래하였다고 한다. 신룡(神龍)이 태어난 곳이 용화리의 용소라는 것이다. 그리고 광진의 용두에서 용이 승천하여 죽서루 아래 오십천에 뛰어들어 백일 동안 유유히 놀면서 절벽을 아름답게 꾸몄다고 한다.
그리고 100일이 지난 후 용왕의 부름을 받아 용화리의 용소로 돌아갈 때 바위를 뚫고 지나갔는데 그렇게 하여 만들어진 것이 용문(龍門)이라고 한다. 이에 사람들은 이곳에서 소원을 빌면 반드시 성취된다고 믿고 있다. [디지털삼척문화대전]
삼척 죽서루에 자리하고 있는 보호수들은요.
역시나 궁궐이나 사찰 등에 즐겨 심었던 회화나무들과..
https://mjmhpark.tistory.com/m/315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 1 - 제1편 학이(學而) 01(1) - 회화나무, 황금회화나무
오늘의 [논어(論語)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편 학이(學而)의 첫 번째 문장 첫 구절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때로 익히
mjmhpark.tistory.com
살짝 뜬금없다 싶은 히말라야시다 개잎갈나무 한 그루도 만날 수가 있었습니다.^&^
https://mjmhpark.tistory.com/m/897
우리 나무 이야기 138 : 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 개잎갈나무
오늘의 아침꽃인사는 길이가 길다싶은 바늘잎들이 2~5개씩 모여 나는 소나무과의 소나무 가족들과 달리, 길이 3cm 이하의 짧은 바늘잎들이 짧은 가지 끝에 20~30개씩 둥글게 모여 나는 소나무과 잎
mjmhpark.tistory.com
1. 삼척 죽서루 보호수 회화나무들



- 수령: 지정일 기준 350년
- 지정(등록): 1982.11.13 보호수 삼척-8호


- 수령: 지정일 기준 350년
- 지정(등록): 1982.11.13 보호수 삼척-9호



- 수령: 지정일 기준 350년
- 지정(등록): 1982.11.13 보호수 삼척-10호
* 아쉽지만요. 사전에 정보 없이 죽서루를 방문했던 터라, 죽서루를 그린 가장 오래된 그림이라는 겸재 정선의 관동명승첩 속 죽서루 가장 왼쪽에 그려져 있다는 회화나무(수령 480년, 삼척시 보호수 25호)는 보지도 못하고 왔습니다.

관동명승첩(關東名勝帖)은 겸재정선(鄭敾)[1676~1759]이 65세 때 그린 관동 지역 명승과 관련된 진경산수화이다. 이 첩에는 정자연, 수태사 동굴, 총석정, 삼일호, 해산정, 천불암, 청간정, 시중대, 월송정, 망양정, 죽서루가 그려져 있다.
죽서루 그림은 오십천 건너편에서 죽서루를 바라본 구도로 그려졌다. 죽서루 왼쪽은 응벽헌으로 추정되는 건물을 포함한 객사와 오십천에서 응벽헌 쪽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그려져 있다. 오른쪽에는 연근당으로 보이는 건물이 그려져 있으며, 오십천에는 선비들이 뱃사공을 대동하고 선유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정면 6칸, 측면 3칸의 죽서루 구도를 표현하였다. 이 작품은 현재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으며, 크기는 32.3×57.8㎝이다. 그림 오른쪽 상단에는 그림 제목과 함께 ‘겸재’라고 새겨진 글씨 및 낙관이 찍혀 있다. [디지털삼척문화대전]
2. 삼척 죽서루 보호수 개잎갈나무



- 수령: 지정일 기준 100년
- 지정(등록): 1982.11.13 보호수 삼척-35호
'꽃 나무 휴게실 > 보호수 천연기념물 나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의 보호수(노거수) 소나무들 (1) | 2025.01.30 |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보호수 소나무들 (0) | 2025.01.28 |
강원도 강릉의 보호수(노거수) 소나무들 (1) | 2025.01.18 |
경북 울진의 천연기념물 향나무들(후정리 향나무, 화성리 향나무) (2) | 2025.01.15 |
수원, 부천, 인천의 보호수(노거수) 은행나무들 (1)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