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한양도성 북동쪽에 위치한 성북구(城北區)의 구목은 감나무이며, 구화는 진달래이고, 성북구에는 보호수가 총 7그루(느티나무6, 향나무1) 자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보호수 소개] 열세 번째 순서로 서울 성북구에 자리하고 있는 보호수들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성북구 보호수들은 길상사와 흥천사 그리고 정릉에 있는 느티나무들로, 6그루가 서로 멀지 않은 거리를 두고 모여 있고요.
나머지 1그루는 장위동 향나무쉼터에 자리하고 있는 향나무로, 조금 먼 거리에 홀로 떨어져 있음에, 나중에 찾아 보기로 했는데요.
대신에 우이신설선 정릉역에서 전철을 타고 화계역에서 하차, 화계사쪽에 모여 있는 강북구 보호수 느티나무 3그루를 찾아 보기로 했습니다. ^&^
추천코스 : 한성대입구역 6번출구~ 선잠단지~ 길상사~ 북악스카이웨이~ 흥천사 후문~ 정문~ 돈암2동주민센터~ 정릉~ 정릉역~ 화계역~ 화계사
오늘 성동구 보호수 투어의 걸음은 한성대입구역 6번출구에서 시작, 선잠단지를 경유하여 길상사 느티나무를 찾아 갑니다.
앞으로 보호수가 될 후보.^^ 성북구 아름다운 나무 - 느티나무



꽃가게 앞 꽃길마당.^^






선잠단지 도착..
서울 선잠단지(서울 先蠶壇址) - 사적


누에치기를 처음 했다는 중국 고대 황제의 황비 서릉씨를 누에신(잠신蠶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이 단은 고려 성종 2년(983)에 처음 쌓은 것으로, 단의 앞쪽 끝에 뽕나무를 심고 궁중의 잠실(蠶室)에서 누에를 키우게 하였다.
세종대왕은 누에를 키우는 일을 크게 장려했는데, 각 도마다 좋은 장소를 골라 뽕나무를 심도록 하였으며, 한 곳 이상의 잠실을 지어 누에를 키우도록 하였다. 그러다가 중종 원년(1506)에는 여러 도에 있는 잠실을 서울 근처로 모이도록 하였는데 지금의 강남 잠실이 바로 옛 잠실들이 모여 있던 곳이다.
선잠단의 설치 이후 매년 3월에 제사를 지내다가 1908년 잠신이 의지할 자리인 신위를 사직단으로 옮기면서 지금은 그 터만이 남게 되었다. [문화유산포털]



요즘 잘나가는 강남 잠실은 옛날 누에를 키우는 잠실(蠶室)들이 모여 있던 곳.^&^

성북동성당.






돈 많은 회장님들이 모여 산다는 성북동 언덕 길을 올라서 길상사에 도착합니다.





길상사의 보호수 느티나무1



1. 길상사 느티나무
소재지 : 성북구 성북동 323
지정번호 : 서8-6
지정일 : 1981.10.27
수령 : 지정일 기준 265 년

길상사의 보호수 느티나무2



2. 길상사 느티나무
소재지 : 성북구 성북동 323
지정번호 : 서8-5
지정일 : 1981.10.27
수령 : 지정일 기준 265 년



길상사 극락전 앞에는 성북구의 아름다운 나무 - 느티나무도 한 그루 있습니다.















법정스님 유골이 묻혀 있는 진영각 담장 아래에..

백작약이 곱게 피어 있었습니다.

길상사를 나와서, 이제는 정릉 흥천사로 넘어 갑니다.

북악스카이웨이로..


이곳에도 성북구의 아름다운 나무 - 느티나무 한 그루 있고요.

바로 뒤에는 덩치 큰 양버즘나무(플라터너스)도 있습니다.


한국가구박물관(휴관중) 앞을 지나..

핀란드 대사관저도 지나고요.


북악스카이웨이길을 넘어서..




정릉 이정표를 따라 좌회전..

스카이단지를 통과..


흥천사 후문으로 들어섭니다.




느티나무어린이집과 흥천사 경내를 지나..






돈암2동주민센터 앞 보호수 느티나무를 알현합니다.^&^






3. 흥천사 돈암2동주민센터 앞 느티나무
소재지 : 성북구 돈암동 산85-97
지정번호 : 서8-4
지정일 : 1968.07.03
수령 : 지정일 기준 350 년

이제는 느티나무 뒤 데크길을 올라..


정릉으로 향합니다.



꽃동네..

벽화도 집 앞 화단 꽃들도 참 이쁩니다.^^
정릉 매표소에 도착..

정릉 입장료는 1,000원(경로 무료)입니다.


서울 정릉(서울 貞陵) - 사적

조선 1대 태조의 두 번째 왕비 신덕황후 강씨(~1396)의 능이다.
신덕황후는 강윤성의 딸로 고려의 풍습에 따라 태조의 경처(서울에서 결혼한 부인)가 되었다가, 1392년 조선 건국 후 최초의 왕비(현비)로 책봉되었다.
둘째아들 방석을 왕세자로 책봉시켜 정치적 기반을 닦았으나 이 일로 왕자의 난이 일어나 정치적으로 혼란하였다. 태조는 신덕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현 서울 중구 정동에 조성하였으나, 태종이 왕위에 오른 후 1409년(태종 9) 도성 안에 능이 있다는 이유로 도성 밖 현재의 자리에 옮겼고, 남아있던 목재와 석물을 태평관(太平館)과 청계천 광통교 복구에 사용하였으며, 태조의 왕비로 인정하지 않았다.
1669년(현종 10) 송시열 등의 상소로 신주를 종묘에 모시고, 정릉을 현재의 모습으로 다시 조성하였다.
능침은 추존된 왕비의 능제에 맞게 조성되어 병풍석과 난간석, 무석인을 생략하고 문석인과 석양, 석호 등을 배치하였다. 장명등과 혼유석을 받치는 고석만 옛 정릉에서 옮겨온 석물이고 나머지 석물들은 현종대에 다시 조성하였다. 이후 1899년(광무 3) 신덕고황후로 추존되었다. [국가유산포털]

정릉 입장 후에, 바로 좌회전하여 재실로 방향을 잡고요.
정릉 보호수 3그루 위치

재실 왼쪽과 그 뒤쪽으로 느티나무 보호수 2그루가 있는데요.
첫 번째 느티나무가 서8-2번 보호수 이고요.



4. 정릉 느티나무
소재지 : 성북구 정릉동 508 지정번호 : 서8-2
지정일 : 1968.07.03
수령 : 지정일 기준 330 년



서8-2번 느티나무 뒤, 재실 담장쪽에 있는 나무가 서8-3번 보호수입니다.



5. 정릉 느티나무
소재지 : 성북구 정릉동 508
지정번호 : 서8-3
지정일 : 1968.07.03
수령 : 지정일 기준 330 년




정릉의 또 다른 보호수 서8-7 번 느티나무는요. 조선왕릉중부지구관리소 앞에 있는데요.
재실 느티나무들 보다 나이는 어리지만, 너른 공간을 차지하고서 튼실히 자라고 있었습니다. ^&^



6. 정릉 느티나무
소재지 : 성북구 정릉동 508
지정번호 : 서8-7
지정일 : 1981.10.27
수령 : 지정일 기준 165 년


정릉을 잠시 둘러본 후에..



정릉역에 도착, 성동구 보호수 투어를 마무리 합니다.

* 나중에 찾아 가 볼 미아4거리역~ 북서울꿈의숲 남쪽 장위동 향나무쉼터의 향나무는 위치 정보와 카카오맵 로드뷰 사진만 올려 보고요.


7. 장위동 향나무쉼터 향나무
소재지 : 성북구 장위동 223-33
지정번호 : 서8-8
지정일 : 2004.12.27
수령 : 지정일 기준 200 년
예전에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었던 형제봉 아래 심곡암 졸참나무는요.

현재 고사하여 보호수 지정이 해제된 듯 힌데요..ㅠㅠ
지인이 보내주신, 현재 맡둥만 남은 심곡암의 졸참나무 사진을 올려 드립니다.




8. 심곡암 졸참나무
소재지 : 성북구 정릉동 산1-1
지정번호 : 서8-9
지정일 : 2006.07.13
수령 : 지정일 기준 110 년
* 덤으로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에서 하차, 정릉천을 따라 정릉시장까지 걸어가며 만났던 느티나무들 사진도 올려 봅니다.^&^










'꽃 나무 휴게실 > 보호수 천연기념물 나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보호수 나무들 15 - 구로구, 영등포구 (1) | 2025.04.25 |
---|---|
서울시 보호수 나무들 14 - 강북구 (0) | 2025.04.24 |
서울시 보호수 나무들 12 - 광진구 (0) | 2025.04.13 |
서울시 보호수 나무들 11 - 동대문구 (1) | 2025.04.11 |
서울시 보호수 나무들 10 - 성동구 (1) | 2025.04.07 |